가짜 뉴스가 대통령을 만들 수 있을까? 지난 2016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에 가짜뉴스가 상당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많은 연구결과들이 말한다. 유튜브의 알고리즘에 의한 정보 편향, 가짜뉴스, 딥페이크 영상이 용이한 AI시대의 도래는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확증편향 위험을 더욱 키우고 있다.

AI시대에서 ‘미디어를 제대로 읽는 능력’을 키우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가짜뉴스를 판별하고, 정보 조작에 속지 않으며,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은 AI시대를 살아가는 민주 시민으로서 갖춰야 할 필수 역량이며, 사회 통합을 위한 핵심 요소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소셜미디어 노출이 높은 청소년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고령층의 유튜브 정치뉴스 시청률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 60대의 경우 40%에 이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고령층을 정치적 확증편향의 늪에 빠질 위험을 높인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청소년들은 물론 성인들에게도 중요하고 시급함을 말해 준다. 

하지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의무화하고 확대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가짜뉴스와 확증편향으로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론과 정치권의 주요 이슈에서 벗어나 있다. 지난 21대 국회에서 몇몇 관련 법들이 발의되었지만, 주목받지 못한 채 21대 국회종료와 함께 폐기되었다. 

프랑스, 독일, 캐나다, 미국 등 많은 국가들도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을 높이기 위한 법제도적 장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선택적으로 일부 학교와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또한 교육 내용 역시 단순 정보 습득 위주에 머물러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핀란드는 1970년대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필수 교과로 도입하여, 학생들이 어릴 때부터 정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우리도 핀란드처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및 전문인력양성, 그리고 의무적으로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은 확증편향에 갇힌 사회를 건질 수 있는 길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AI 시대를 살아가는 민주주의 시민이 갖추어야 할 의무다. 확증편향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가짜뉴스와 허위정보를 분별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제화, 더 이상 미룰 시간이 없다. 

글쓴이=조성은

김대중재단 여성본부장 / 前 (주)코콤포터노벨리 커뮤니케이션전략연구소 소장

키워드
#조성은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