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불거진 부인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 씨와의 관련 의혹에 대해 변명과 부인으로 일관하면서 '불통' 이미지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여론의 거센 비판 속에서도 이들의 의혹에 대해 책임을 인정하거나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어, 임기 단축 개헌이나 탄핵 등 퇴진 요구가 갈수록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김건희 여사 관련 논란에 "악마화 당했다"

윤 대통령은 7일 기자회견에서 김 여사의 논란에 대해 국민의 우려를 인정하면서도 "매사에 더 신중하게 처신해야 했지만, 국민들께 걱정을 끼친 것은 무조건 잘못"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여사의 국정 개입 의혹에 대해서는 강하게 부인하며 "대통령 부인은 대통령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뿐, 이를 국정 농단이라고 볼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제 처가 악마화되었다"는 표현까지 사용해가며, 김 여사에 대한 비판이 과도하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명태균 관련 "부적절한 일 없었다"… 나 홀로 "문제없다"는 윤석열 

명태균 씨와의 통화 녹취로 불거진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해서도 윤 대통령은 "부적절한 일도, 감출 것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대선 이후 명 씨와 연락을 끊었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초반 선거 지원을 받은 명 씨에게 '수고했다'는 감사 인사를 전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언은 민심을 다독이기보다는 불통으로 비춰지며,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의 불통 행보와 김 여사 관련 논란이 장기화되면서 국민적 분노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 염장을 지르는 처사'라는 비판도 잇따르고 있으며, 대통령의 해명이 명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하는 데 따른 퇴진 요구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김 여사의 대외활동에 대해 "국민들이 싫다고 하면 중단하겠다"며 수습하려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미 대다수 국민에게 굳어진 불통 이미지를 불식시키기에는 부족해 보인다는 비판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시민사회원로들과 한국외대, 한양대 등 교수들의 시국선언도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김건희 특검'은 물론 임기단축 원포인트 개헌 논의도 본격화될 조짐이다.

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 야당의 연합 장외투쟁도 거세질 것으로 보여 이번 대국민 담화가 오히려 '성난 민심에 기름 얹은 격'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