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공천 관련 윤석열 대통령과 명태균씨의 녹취파일을 공개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공천 관련 윤석열 대통령과 명태균씨의 녹취파일을 공개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로운넷 = 조은결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31일 윤석열 정부와 공천개입 의혹 핵심인물 명태균 씨가 통화한 음성파일을 공개했다. 그간 명씨가 "김건희 여사가..." 등 통화 내용을 3자에게 전하는 식의 음성만 공개되다 윤석열 대통령과 명태균 씨 당사자 간의 통화가 공개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명태균 사태 이후 이어진 믿기 어렵던 주장과 전언이 사실로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2022년 5월 9일,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이뤄진 윤 정부와 명씨와의 통화 녹음을 들려줬다.

민주당이 공개한 녹음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명태균 씨에게 "공관위에서 나한테 들고 왔길래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그거는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고 말했고 명씨는 "진짜 평생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고맙습니다"라고 답변했다.

통화가 이루어진 다음 날 국민의힘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을 공천했다. 윤석열 정부가 이제껏 의혹으로만 불거졌던 공천개입 정황이 사실로 드러나게 된 셈이다.

또 다른 녹취록에선 명씨는 지인에게 "지 마누라(김건희 여사)가 옆에서 '아니 오빠(윤석열 정부) 명선생 그거(김 전 의원 공천) 처리 안 했어? 명 선생 이렇게 아침에 놀라서 전화 오게끔 만든 게 오빠 대통령으로 자격 있는 거야?' (하니까 윤 정부가) 처음에 '무슨 말이 많은지 나는 했는데, 나는 분명히 했다'고 마누라한테 얘기하는 거야. '장관 앉혀라 뭐 앉혀라' 아무것도 모르는데 '이거 앉혀라, 저거 앉혀라' 마누라 앞에서 했다고 변명하는 거야. 내가 (윤 정부한테) '평생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하니까 '알았어, 내가 처리할게. 됐지?' 지 마누라한테 그 말이야. 마누라가 옆에서. 그리고 바로 끊자마자 바로 마누라한테 전화 왔어. '선생님 윤상현이 한테 전화했습니다. 보안 유지하시고, 내일 취임식 꼭 오십시오. 이래 되가지고 전화 끊은 거야"라고 무용담을 늘어놓듯 말했다.

앞서 지난 22일 명태균 씨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밝힌 김건희 여사와의 텔레그램 메시지 중 "철없이 떠드는 우리 오빠 용서해주세요."의 그 '오빠'가 바로 윤석열 대통령을 지칭하는 것이 맞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당시 대통령실은 "김건희 여사의 친오빠"라고 해명한 바 있다.

◆ 대통령실 '전면부인'..."중요하지 않은 대화", "공천 실질적 관리자"는 "김영선 해줘라" 지시를 가릴 수 없다

석열 대통령이 31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마친 뒤 자리로 이동해 손을 흔들고 있다./사진=뉴시스
석열 대통령이 31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마친 뒤 자리로 이동해 손을 흔들고 있다./사진=뉴시스

대통령실은 민주당이 공개한 통화 녹음에 대해 "당시 통화는 기억에 남을 정도로 중요한 내용 아니었다"라며 "명 씨가 김영선 후보 공천을 계속 이야기하니까 그저 좋게 이야기한 것뿐"이라고 윤대통령이 공천에 관여한 바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들은 "당시 공천 결정권자는 이준석 당 대표, 윤상현 공천관리위원장"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이자 개혁신당 대표가 반발에 나섰다. 이준석 대표는 "어디서 이준석 팔아서 변명하려고 하냐"고 분개했다.

이준석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실 해명 기사를 올리며 "지금 상황에서 이렇게 변명하다니, 말미잘도 이것보다는 잘 대응할 것"이라며 "용산에서 기자들에게 돌리면서 주절주절 첨부한 이준석 페이스북 내용은 이준석이 이준석에 대해서 해명하는 것"이라고 적었다.

이어 "저는 윤 대통령이 공천관리위원회에서 보고를 받는 줄도 알지 못했고, 또 후보 측 관계자에게 이런 내용을 전달하는지도 몰랐다. 그건 바로 너희들(대통령실)이 해명해야 한다"며 "저 시점으로부터 한 달 뒤에 윤리위 걸어서 쫓아내려고 기획했던 자들이 어디서 이준석 팔아서 변명하려고 하나. 양두구육을 넘어서 이제 인면수심을 하려고 하냐"고 날선 비판을 가했다.

앞서 대통령실의 해명이 '거짓해명'이라는 논란이 연일 이어졌던 바 다.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과 황제 관람 등 '김건희 리스크'에 대해 그간 대통령실이나 관계자가 밝혀 온 해명들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끊임 없었다.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명씨와 두 차례 만났고, 대선 경선( 2021년 11월 5일) 후엔 명씨와 문자 또는 통화한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는데 2022년 5월 그와 통화한 녹취가 나왔다.

대선 경선 이후 명태균 씨와 소통한 사실이 없다던 대통령실의 해명은 오늘 밝혀진 명씨 녹취록에서의 김건희 여사가 "취임식 꼭 오십시오"라고 했단 명씨의 진술과 다르다.

때문에 이번 해명도 국민은 마음을 돌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해 보인다. '결정권자'가 문제가 아닌 '개입'이 문제라는 사실을 일축하며 본질을 흐리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민주당이 밝힌 녹음 내용엔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라고 그랬는데"라는 윤석열 정부 당사자의 음성이 담겨있다. 실질적 권한자가 따로 있었음을 강조한 해명이 이를 묵인할 수는 없다. 

또 '중요하지 않은 대화'라서 '공천개입'이 아니라는 대통령실의 해명은 국민과 정치권으로부터 신뢰를 저버리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명태균 씨의 통화 공개로 공천 개입 의혹이 다시 불거지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민주당은 " 입수한 다른 녹취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불법이 김건희 여사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는 내용이 수두룩 하다"고 경고했다.  대통령실이 이 사안에 대해 납득할 만한 해명을 내놓지 않는다면 정국에 큰 파장이 불러일으켜 질 수도 있을 전망이다. 

한편 이번 사건은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공천 개입 사례와 비교되며, 대통령 탄핵 요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치권 내에서는 윤 대통령의 이러한 공천 개입 의혹이 헌법상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한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례와 비교해 탄핵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