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31일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07.31.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31일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07.31.

이로운넷 = 조은결 기자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국회에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됨에 따라 취임 2일 만에 직무가 정지됐다. '한국의 괴벨스'라는 별칭을 가진 이 위원장은 야당의 탄핵 추진으로 짧은 임기를 마치고 직무가 중단됐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이진숙 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표결에 부쳐, 재석 188명 중 찬성 186명, 반대 1명, 기권 1명으로 가결했다. 이번 탄핵 소추안은 야당이 이진숙 위원장의 임명을 반대하며 발의한 것으로, 이 위원장이 취임한 지 이틀 만에 국회를 통과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이진숙 위원장의 방통위 2인 체제 의결에 대해 위법성을 지적하며 탄핵 사유로 삼았다.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에서 대통령이 임명한 상임위원 2명만으로 한국방송공사(KBS)와 방송문화진흥회(MBC)의 이사를 추천·선임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현재 방통위는 3명의 상임위원 자리가 공석인 상태다.

이진숙 위원장은 과거 MBC 재직 시절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법인카드 사적 사용, 무단결근, 여론 조작 시도 등으로 비판을 받아왔으며, 이에 따라 '한국의 괴벨스'라는 별칭이 붙었다.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그녀의 극우적 사고방식을 경고하며, 이 위원장의 임명을 반대했지만 결국 이른바 괴벨스의 꿈도 정지된 셈이다. 

반면 여당은 방통위 2인 체제의 귀책 사유를 야당에 돌리며 강력 반발했다. 국민의힘 최형두 의원은 탄핵소추안 표결 전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민주당이 방통위원 추천을 하지 않아 2인 체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공영방송 이사 선임을 둘러싼 갈등은 정국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정치적 갈등으로 번질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이진숙 위원장의 직무는 가결과 동시에 즉시 정지됐으며,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기다려야 한다. 국회 과방위는 오는 9일 '방송장악 청문회'를 열어 이 위원장이 2인 체제에서 이사 선임을 진행한 과정의 적절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방통위 현장검증도 실시할 계획이다.

이번 사태는 윤석열 정부의 MBC 등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진숙 위원장의 임명과 함께 시작된 방송통신위원회의 혼란과 야당의 강력한 반발이 이어지면서 향후 정치적 파장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