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8일 오전 경기 과천시 소재 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2024.07.08./뉴시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8일 오전 경기 과천시 소재 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2024.07.08./뉴시스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이진숙 전 MBC 보도본부장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로 지명한 것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진숙 후보는 과거 MBC에서 편향된 보도와 노동 탄압으로 비판받은 인물로, 방송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지켜야 할 방송통신위원장으로서 부적격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블랭리스트 이후는 22닐 논평을 내 "이진숙은 2014년 세월호 사건 당시 ‘전원 구조’라는 오보와 희생자 유가족을 폄훼하는 보도를 지휘했던 책임자로 평가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2015년 대전MBC 대표이사로 부임한 후 유성기업 대량 해고 사건을 축소 보도하고, 노동조합 소속 직원들을 부당 징계하는 등 비정상적인 경영을 일삼았다. 이러한 경력으로 인해 2017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회에서 해임자 명단에 올랐다.

이진숙 후보는 2019년 자유한국당에 입당해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경선에서 낙선했으며, 2021년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캠프에 언론특보로 합류하는 등 정치적 중립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경력을 가진 인물이 방송통신위원회의 독립적 운영을 책임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단체는 전했다.

단체에 따르면 이진숙 후보는 2022년 보수정당 강좌에서 일부 영화와 연예인을 좌파로 분류하며 편향된 시각을 드러냈다. 이는 이명박 정권의 블랙리스트 문건인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을 그대로 반복한 것으로, 특정 정치 성향에 따라 작품과 예술인을 차별하는 행위로 비판받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명박 정부의 블랙리스트 책임자였던 유인촌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박근혜 정부의 블랙리스트 책임자였던 용호성을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으로 임명한 데 이어, 이번에는 이진숙을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지명했다. 이는 대한민국 헌법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위헌적인 행위로, 블랙리스트 사태의 전면 조사를 위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블랙리스트 이후
/블랙리스트 이후

블랙리스트 이후는 다음과 같은 요구 사항을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진숙의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

▲국회는 블랙리스트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블랙리스트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

▲문화예술인들은 이진숙의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을 반대한다.

▲국회는 블랙리스트 범죄 진상조사 및 책임자 처벌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진숙 후보의 방송통신위원장 임명 논란은 과거의 블랙리스트 사태를 재현하는 것으로, 공정하고 독립적인 방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