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로운넷 = 남기창 책임에디터
국무총리이자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덕수 총리의 조기 대선 출마설이 여의도 정가를 뒤흔들고 있다. 국민의힘 일각에서 "한덕수라면 승부수를 던질 수 있다"는 희망 섞인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망상에 불과하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10일 국회 정책조정회의에서 "항간에 들리는 소문대로 한 대행이 대통령 꿈을 꾸고 있다면 헛된 꿈"이라며 "국민이 헌법을 파괴하는 사람을 대통령으로 뽑아줄 것이라 기대하는 건 거대한 착각"이라고 일침을 날렸다.
◆"내란수괴 대행"이라는 맹비난… 헌재재판관 지명 강행에 분노한 야당
민주당의 공세는 한덕수 총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측근인 이완규 법제처장을 헌법재판관으로 지명한 것에 대한 반발에서 시작됐다.
박 원내대표는"내란수괴 대행의 망동을 좌시하지 않겠다"며 지명 철회를 강하게 촉구했다.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도 "내란범을 파면시키니 이제는 내란 대행자가 나라를 운영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실제로 한덕수 총리는 대선 출마 의사를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는 "국민의힘의 차기 대선 후보군이 마땅치 않다"는 보수 진영의 불안감을 배경으로, 권한대행 체제 속 존재감을 부각하려는 계산이라는 분석도 뒤따른다.
◆'홍정욱→윤석열→한덕수'… 킹메이커의 뒤바뀐 계획?
1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강혜경 씨(전 김영선 의원 회계책임자)의 폭로도 파문을 키우고 있다.
그는 "명태균 씨가 처음에는 홍정욱 전 의원을 차기 대선 주자로 점찍었다가, 이후 윤석열로 방향을 틀었고 지금은 한덕수 대행이 거론된다"고 밝혔다. 보이지 않는 킹메이커들에 의해 움직이는 조기 대선 플랜이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들이 한덕수를 '비상 대안 카드'로 꺼내들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실제로 윤상현·박덕흠 등 국민의힘 인사들이 직접 한덕수 출마론을 부추기고 있다는 보도도 있다.
여기에 한덕수와 통화했다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선 나갈 거냐"는 질문까지 거론되며, 한덕수 스스로 언론에 이를 흘린 정황도 포착됐다.
◆'이완규 지명'으로 드러난 정치적 야심… 탄핵론까지 등장
한덕수 총리가 임기 만료를 앞둔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후임으로 이완규 처장을 지명한 것은 '권한대행으로서 월권'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은 대통령 권한대행이 헌재 재판관을 지명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지명을 철회하지 않으면 내란 동조자로 탄핵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보수 매체조차 "한덕수의 모순적 행보가 정국을 더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며 지명 철회 또는 후보자 사퇴를 공개적으로 주문하고 있다.
◆'꽃가마 인생'이 대통령이 될 수 있을까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한덕수 대행은 꽃가마만 타고 온 사람인데, 대선에 출마한다고 민심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가"라며 정치적 실체 없는 관료 출신의 대망론을 정면 비판했다.
현재 야당은 한덕수 총리의 일련의 정치적 행보가 "헌정 질서에 대한 도전이며, 사실상 '윤심'을 업은 대선 준비"로 보고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보여준 태도는 공직자로서의 중립성·책임감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정치적 비상상황에서 등장한 '한덕수 대망론'은 결국 유력 대선 후보 부재에 따른 위기감의 반영이다. 하지만 대통령 권한대행이라는 자리를 등에 업고 헌재 인사권까지 휘두르는 행보는 '비상한 리더십'이 아닌, '무책임한 권력욕'으로 비춰진다.
헌법을 지키겠다는 자가 헌법을 흔드는 현실. 대한민국 유권자들은 그런 후보를 선택할 만큼 순진하지 않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완규 지명 강행과 한덕수 대망론의 배경에는 파면된 윤석열·김건희 부부의 여전한 영향력이 짙게 드리워져 있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스럽다.
내란 수괴 우두머리로 공식적 권력을 잃었음에도 권력의 핵심을 여전히 좌우하려는 그들의 그림자가 사라지지 않는 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는 끊임없는 위기에 놓일 수밖에 없다.
광장의 시민들이 '내란 종식'과 '국민의힘 해체' '사회대개혁'을 외치며 윤석열 파면은 끝이 아닌 시작이라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우원식 "개헌, 조기 대선 이후 논의...국민 공감대·정당 합의가 먼저" 사흘 만에 입장 선회
- 이재명 사퇴, 대선 출마 공식화 "이제 또 새로운 일을 시작한다" 조기 대선 레이스 돌입
- [이로운시선] 한덕수, 이완규 헌법재판관 지명…헌정 수호인가, 내란의 그림자인가
- 윤석열 파면에 시민단체 "민주주의의 승리… 사회대개혁으로 나아가야"
- [이로운시선]윤석열 탄핵은 헌법 수호의 길이자 정의 회복의 시작이다
- [이로운시선] '내란국조특위' 속 한덕수, '좋은 한덕수' 코스프레? 국민 신뢰와 책임 회피 사이
- [이로운시선] '난가병'에 빠진 한덕수, 권한대행인가 예비후보인가
- "극심한 혼란 우려"…헌재,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폭주에 '제동'
- [이로운시선]'윤석열의 그림자'와 '어대명'의 반사…대선 D-43일, 민심은 어디로
- [이로운시선]셈법에만 급급한 국민의힘 경선…정책은 실종, 유치한 말싸움만 남았다
- [이로운시선] 김건희는 미적, 문재인은 기소…尹 검찰, 맞불 놓기인가
- 검찰, 김건희 '도이치 주가조작' 재수사 착수…민주당, 더 세진 특검법 재발의로 압박 강화
- [이로운시선]한덕수의 착각, 이낙연까지 가세한 반이재명 빅텐트의 '허상'
- [이로운시선]조희대와 한덕수의 대선판 난입… 이것은 사법 쿠데타다
- [이로운시선]조희대의 대선판 난입, 국민의 참정권을 흔드는 마지막 불씨가 되어선 안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