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투·개표 절차 시연회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수검표를 하고 있다.(공동취재) 2025.04.10. /뉴시스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투·개표 절차 시연회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수검표를 하고 있다.(공동취재) 2025.04.10. /뉴시스

이로운넷 = 남기창 책임에디터

오는 6월 3일, 대선이 불과 43일 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대선판에 임하는 국민의힘은 아직도 '과거의 망령'과 불확실한 대안 사이에서 방황 중이다. 대통령직에서 파면된 윤석열을 배출했던 국민의힘은 여전히 '윤석열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혼돈을 겪고 있고, 더불어민주당은 '어대명'을 넘어 '구대명'이라는 압도적 지지율 속에 사실상 이재명 체제로 굳어지고 있다.

'윤 어게인' 신당은 무산됐지만, 윤석열의 존재는 여전히 여권의 발목을 잡고 있다. 내란 우두머리로 형사 재판 중인 전직 대통령과 '밥 한 끼' 사진을 SNS에 올리고 "윤버지" 운운하는 장면은 보수층에도 충격을 안겼다. 조선일보조차 "파면된 대통령을 대선판에 끌어들이는 게 무슨 의미냐"고 개탄할 정도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균열은 뚜렷하다. 홍준표와 한동훈의 설전, 나경원의 직격, 그리고 한덕수 총리의 “출마 노코멘트”까지…무게 중심이 없는 대선 경선판은 '자중지란' 그 자체다. 여론조사 지지율도 각개전투 수준으로, 주요 주자들이 서로의 지지층을 갉아먹는 상황이다.

한동훈의 '계엄은 불법' 발언과 나경원의 '후보 사퇴' 요구, 홍준표의 중도적 태도는 오히려 윤석열과의 분리 전략이란 점에서 공통된다. 그러나 보수는 아직 그 틀조차 명확히 갖추지 못하고 있다.

20일 오후 울산 울주군 울산 전시컨벤션센터 A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후보가 지지자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제공=이재명 캠프
20일 오후 울산 울주군 울산 전시컨벤션센터 A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후보가 지지자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제공=이재명 캠프

◆'어대명' 넘어 '구대명', '예고된 독주'가 아니라 '예고된 판세'

반면, 이재명 후보는 민주당 경선에서 연일 90%대 득표율을 기록하며 '어대명'을 넘어 '구대명'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냈다. 지난 주말 충청에서 88.2%, 영남에서 90.8%를 기록하며 누적 89.6%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조선일보가 이를 "89% 쇼크"라고 묘사한 건 단순한 놀람을 넘어 위기의식의 반영일 것이다.

여론조사도 이 흐름을 뒷받침한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이재명은 비상계엄 이후 최고치인 38%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의 모든 주요 후보 지지율을 합쳐도 30%가 채 되지 않는다. 이재명의 독주가 아니라, 윤석열 리스크에 대한 반사적 이익이 더 커 보이는 이유다.

특검법, 용산 이전, 계엄…이슈는 많은데 메시지는 없다

정국에는 이슈가 넘친다. 특검법 11건이 준비되고 있고,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잔류 여부도 주요 쟁점이다. 김경수는 "단 하루도 용산에 있지 않겠다"고 선언했고, 이재명은 "청와대 복귀를 준비해야 한다"는 현실론을 폈다. 한동훈은 "일단 용산", 안철수·홍준표는 "청와대 복귀", 나경원은 "세종 이전"을 주장하며 각자 입장을 내고 있지만, 국민 눈에는 혼선으로만 보인다.

한편, 한덕수 권한대행은 "미국과 싸우지 않겠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자초했다. 민주적 정통성이 없는 총리가 관세 협상과 방위비 재협상을 주도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거세다. 외신마저도 그의 발언에 ‘발끈했다(bristled)’는 표현을 쓸 정도다.

21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TV를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우두머리 혐의 2차 공판 모습을 시청하고 있다. 2025.04.21./뉴시스
21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TV를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우두머리 혐의 2차 공판 모습을 시청하고 있다. 2025.04.21./뉴시스

국민의힘, '윤'을 끊지 않으면 아무것도 시작되지 않는다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윤석열과 단절하지 못하는 국민의힘 내부의 태도다. 중도 확장은커녕 보수층만 의식하고 극우와의 단절도 아려워 보이는 형국이다. 심지어 전광훈마저 대선에 나서겠다고한 것처럼, 보수는 외연 확장이 아닌 내홍의 늪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다. 조선일보마저 사설에서 "이러니 지지층도 혀를 찬다"며 윤석열에게 퇴장을 요구했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그 사이 이재명은 한 걸음 한 걸음 착실히 진군 중이다. 연일 내놓는 차기 정부의 정책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물론, 견제는 필요하다. 그러나 그 견제가 되려면 국민의힘이 최소한 '윤의 망령'에서 벗어난 새 프레임을 제시해야 한다. 선거는 심판이 아니라 선택이다. 

지금 국민은 누가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지를 보고 있다. '누구를 미워하느냐'가 아니라 '누가 대한민국을 위기에서 구할 것'이냐가 관건이 되는 국면이다. 그런 점에서, 이재명은 준비된 메시지를, 국민의힘은 여전히 과거의 그림자를 보여주고 있다. 대선까지 43일. 이제는 각 진영 모두가 '진심'과 정책이 바탕이 된 '실력'으로 승부할 때다. 

윤석열의 헌법 파괴 행위로 인해 대한민국은 지금 비정상의 상태에 머물러 있다. 국가의 정상화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며, 내란 사태의 완전한 종식 역시 차기 정부가 반드시 짊어져야 할 역사적 책임이다. 지금 이 나라에는, 진정으로 국민을 위하고 헌법을 지키며 위기를 수습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지도자'가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