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석유·가스 탐사시추 계획이 환경단체와 국민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3일, 윤 대통령은 포항 앞바다에서 석유와 가스를 탐사하기 위한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즉각 논평을 통해 "기후재난에 국민들을 방치하고, 성공 확률이 낮은 탐사시추 계획을 나라살림으로 택한 것은 윤석열 대통령의 도박과도 같다"며 석유가스 탐사시추 계획의 철회를 요구했다. 또한, 화석연료 산업 재원 사용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확대와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인프라 확대에 집중할 것을 촉구했다.
정부는 포항 앞바다에 매장된 석유와 가스가 삼성전자의 시가총액 5배에 달하는 2,270조 원의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그러나 이 성공 확률은 실질적으로 10%에 불과하며, 채굴 가능성도 매우 낮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또한, 정부가 기대하는 석유와 가스 생산이 가능해지는 2035년에는 이미 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보다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은 정부가 화석연료에 투자할 5,000억 원을 재생에너지 설비 비용으로 사용할 경우, 533만3100톤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가능하며, 이는 5,000억 원 이상의 사회적 비용을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포항 앞바다는 지난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해양보호생물종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계 지역이다. 시추 계획이 시행된다면 해양생태계 보호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정부의 해양보호구역 확대 및 체계적 관리 계획과도 상충된다.
과학자들은 산업화 대비 지구 평균 온도 1.5도 상승이 5년이 채 남지 않았다고 경고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청정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화석연료보다 이미 1.7배 높아졌으며, 재생에너지의 저렴한 비용과 에너지 안보에 대한 지속적인 해결책을 그 이유로 들었다.
환경운동연합은 "윤석열 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에 보다 책임감 있는 자세로 임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기후위기 속에서 국민들을 방치하려는 계획을 철회하고,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이로운체크]액트지오사 전문성·능력 등 논란 일자 석유공사 '팩트체크' 설명자료 배포
- [이로운체크]한 달 만에 해저 유전 찾았다며 尹이 언급한 연구기관 '액트지오'···방문해보니 빈 집?
- 녹색당, '尹정부의 동해안 석유·천연가스 채굴 계획' 강력 비판 "그대로 두라"
- [이로운요구]"정부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 재수립하라"
- [이로운체크]동해 심해 가스전, 경제적 잠재력 확인?…정부 "최대 140억 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 [이로운시선]尹이 심어준 '산유국의 꿈' 왜 우려와 비판이 잇따르는가?
- [이로운시선]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혹…영일만 그리고 액트지오 아브레우의 기자회견
- 허영 의원, 기후위기특별위원회 등 상설화 국회법 개정안 대표 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