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영일만 앞바다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06.03./뉴시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영일만 앞바다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06.03./뉴시스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정부는 동해 심해에서 대규모 석유 및 가스 자원이 부존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하며, 이를 통해 국내 자원 확보에 큰 진전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신중론도 만만치 않아 낙관론을 펼치기엔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온다.

3일 산업부에 따르면, 한국은 1966년 포항 앞바다를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해저 자원을 탐사해 왔다. 1998년 동해에서 4,500만 배럴 규모의 가스전이 발견돼 2004년부터 2021년까지 상업 생산이 이뤄졌다.

최근 들어 동해 심해 지역에서 추가 석유 및 가스 자원의 가능성이 확인됐으며, 이에 따라 2023년 2월 미국의 Act-Geo社(사)에 심층 분석을 의뢰했다. Act-Geo는 포항 일원 동해 심해 유망구조에서 최소 35억 배럴에서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존재할 가능성을 평가했으며, 이 평가 결과는 국내외 전문가로부터 신뢰성을 검증받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자원의 안정적 확보가 국가 산업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강조했다. 정부 기대대로 실제로 140억배럴 매장됐을 경우 현재 가치로 따져보면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정도이기 때문이다. 

갑작스런 정부 발표에 정유업계도 촉각을 곤두세면서도 아직 실제 매장량과 시추 경제성이 입증되지 않은 만큼 신중히 지켜본다는 게 대체적 반응이다.

한 정유사 관계자는 "매장 가능성이 경제성과 사업성으로 직결되지는 않는다"며 "자원 매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가 쌓이기 전까진 일단 상황을 예의주시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970년 제정된 해저광물자원개발법과 1979년 설립된 한국석유공사는 국내 해역에서 지속적인 탐사와 시추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자원개발 기업에 대한 재정 및 세제 지원을 확대하고 자원안보특별법을 제정하여 법적 기반을 강화했다.

이번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위해 정부는 시추를 통해 본격적으로 부존 여부 및 부존량을 확인할 계획이다. 1공 시추에 1천억원 이상의 재원이 들며, 이는 정부 재정지원, 석유공사의 해외투자 수익금, 해외 메이저 기업 투자유치를 통해 조달될 예정이다. 시추 성공이 보장되지 않으나, 필요 재원을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다.

동해 심해 탐사자원량은 최소 35억 배럴에서 최대 140억 배럴이며, 가스는 75%, 석유는 25%의 비율로 부존될 가능성이 있다. 이번 동해 심해 가스전의 경우, 금년 말부터 탐사시추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와 한국석유공사는 동해 심해 가스전의 성공적인 개발을 통해 국내 자원 확보와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녹색당 등은 이번 채굴 계획이 민심을 잃은 정권의 주목받기 위한 일시적인 계획에 불과하다고 비판하며, "임기를 다 채울까 의심스러운 정권의 안쓰러운 발악으로 보일 뿐이다. 이 시추 계획도 정권과 함께 주저 앉게 될 것이다. 그리 되도록 싸울 것이다"라고 선언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