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필리핀·싱가포르 국빈방문 및 한-아세안회의 참석 등 순방에 동행하는 부인 김건희 여사가 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의 필리핀·싱가포르 국빈방문 및 한-아세안회의 참석 등 순방에 동행하는 부인 김건희 여사가 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로운넷 = 조은결 기자

민주당이 22대 국회 국정감사를 '김건희 국감'으로 규정하며 공천 개입 및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을 비롯한 다양한 의혹을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 할 정황들이 줄줄이 나오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7일 '동아일보'는 '공천개입'의 핵심 관련자인 명태균 씨와 지난 5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들은 명태균 씨가 윤석열 정부의 서울 서초동 자택(아크로비스타)을 수시로 방문하며 정치적 조언을 했다고 주장한 인터뷰를 단독 보도했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명씨는 "(후보 시절 윤 대통령 부부 자택에) 몇 번 갔는지 세지는 않았다"면서 "대여섯 번 정도 간 것으로 (집에) 가봤다고 이야기할 수 있겠나"라고 자주 방문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특히 윤 대통령에게 "권력의 사람 쓰임은 옷과 같이 하라"는 조언을 주며, 첫 국무총리로 최재형 전 감사원장을 추천했다고 밝혔다. 

명씨는 지난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오세훈 시장과 이준석 전 당 대표의 당선에 기여했으며, 이로 인해 윤 대통령과 인연을 맺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김건희 여사에게 "나한테 시키는 걸 나한테만 시키지 말고 다른 사람한테도 시키라 했다. 절대 그 사람한테 나를 말하지 말고, 나한테도 그 사람을 말하지 말고 (결과물을) 다 크로스체크해서 하시라 했다. 올라가서(대통령 당선돼서) 실수하면 큰일 나니까 항상 일을 시킬 때는 3명한테 하라고 했다"고 조언했다는 사실을 알렸다.

이날 인터뷰에서 명씨는 2022년 대선 당시 대선 후보 단일화를 자신이 성공시켰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참여와 공직을 제안받았다는 주장도 펼쳤다.

그는 역술인 천공에 대해선 "내가 (천공보다) 더 좋으니까 (천공이) 날아갔겠지. 천공을 보니까 하늘 사는 세상과 땅에 사는 세상을 구분을 못한다. 이상한 얘기를 막 한다. 하지만 내가 그 사람을 본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날 '한겨레'는 김건희 여사가 연루된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의 2차 주포 김아무개씨가 김건희 여사가 윤석열 정부와 결혼한 이후인 2012년 7~8월 "주가 방어 등을 권오수에게 요청하니 김 여사 계좌에서 주식이 매수됐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확인해 단독 보도했다.

'한겨레'에 따르면 6일 입수한 김씨의 2021년 10월30일 검찰 진술조서를 보면, 2012년 7월25일 거래와 관련해 김씨에게 '도이치모터스 주가 방어를 요청하자 권오수가 김건희 계좌를 이용해 매수한 것이 맞는가'라고 묻자 "누가 주문을 내었는지는 모르지만, 저는 권오수에게 부탁을 했으니 권오수가 그렇게 해준 것이 맞다"라고 답변한다.

김건희 여사는 2012년 3월 윤석열 대통령과 결혼했다. 

당시 김씨는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에게 오전 8시30분께 문자를 보내 방어해달라고 요청했다. 약 40분 뒤인 오전 9시12~13분, 김 여사의 한화투자증권 계좌에 세차례에 걸쳐 도이치모터스 주식 1500주를 사들였다.

2012년 8월8일에는 김씨가 한 증권사 직원에게 '권 회장 주변에서 내일부터 도이치모터스 주식을 살 것'이라는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고 이튿날 김 여사의 한화투자증권 계좌에서 도이치모터스 주식 1만주가 매수됐다. 

앞서 윤석열 정부와 여당은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은 윤 정부와 '결혼 전 일'이라며 외면해 왔다. 하지만 이번 검찰 조서를 통해 결혼 후에도 김 여사의 계좌가 주식 거래에 사용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의혹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및 주가 조작 의혹과 관련된 정황들이 연이어 드러나면서 이번 국정감사에서 추가적인 사실들이 밝혀질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만약 새로운 증거나 증언이 나올 경우, 정치적 파장이 예상되며 이에 대한 정부여당의 대응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