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회 광복절 경축식에서 참석하여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19.08.15./자료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회 광복절 경축식에서 참석하여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19.08.15./자료사진=뉴시스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독립기념관이 개관 37년 만에 처음으로 광복절 경축식을 취소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번 결정은 뉴라이트 계열 인사로 알려진 김형석 신임 관장의 임명 이후 내려진 것으로, 독립운동 역사와 정신을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독립기념관은 당초 8월 15일 오전 10시, 독립운동가 후손들과 참가를 희망한 100가족이 참석하는 ‘광복절 경축식’을 예정대로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김형석 관장의 결정으로 행사가 취소됐다.

독립기념관 측은 12일 김 관장이 서울에서 열리는 대통령 주최의 정부 행사에 참석 요청을 받았기 때문에, 기관장이 없는 상황에서 경축식을 진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해 취소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결정에 대해 독립기념관 내부와 시민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독립기념관 노조는 성명을 통해 "광복절 경축식을 취소한 것은 광복절에 대한 가벼운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며 김 관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또한, 노조는 김 관장이 독립운동가 후손이 아닐 뿐만 아니라, 과거 친일파를 재평가하고 독립운동의 가치를 훼손하는 주장을 펼쳐온 점을 지적하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번 사태를 둘러싸고 시민사회와 정치권에서도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와 천안 지역의 시민단체들은 김형석 관장의 임명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으며, 이종찬 광복회장은 "독립운동을 폄훼하고 일제 식민 지배를 미화하는 관장의 임명은 헌법정신과 역사적 정의에 반하는 불법이자 불의"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김형석 관장의 임명을 둘러싼 논란과 광복절 경축식 취소는 독립기념관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국민적 논의를 촉발시키고 있다. 독립기념관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역사와 그 정신을 보존하고 기념하는 상징적인 장소로, 이번 사태는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위협할 수 있는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의 오랜 친구이자 정치적 동지로 알려진 이철우 연세대 교수도 김형석 관장의 임명을 비판하며 대통령이 건국절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이 교수는 "대한민국 역대 정부가 취해온 입장을 부정하고 있는 사람이 독립기념관장에 임명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종찬 광복회장도 대통령의 입장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는 한 광복절 경축식 행사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라이트는 과거 일제강점기와 독립운동을 재해석하며 역사 왜곡의 우려를 낳아왔으며, 김형석 관장의 임명 자체가 독립운동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뉴라이트로 분류된 인물들은 자신이 뉴라이트임을 부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