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S 뉴스 갈무리
사진=KBS 뉴스 갈무리

이로운넷 = 조은결 기자

KBS 이사회가 지난 23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박장범 뉴스9 앵커를 KBS 사장 최종 후보로 선정해 노조와 야권에서 파문이 일어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건희 보은성 인사 아니냐"라며 강하게 규탄했다.

앞서 지난 2월 윤석열 정부 특별 대담에서 박장범 후보가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에 대해 '조그마한 파우치'라고 표현해 '권력 눈치보기'라는 논란에 휩싸였다.

방송 이후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는 성명서에 "윤 대통령이 박장범 앵커를 환대하며 시작된 100분간의 대담은 그야말로 윤석열 대통령의, 윤석열 대통령에 의한, 윤석열 대통령을 위한 한 편의 쇼였다"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응당 제대로된 대담이었다면 왜 명품 백을 바로 반환하지 않았는지, 국민들에게 사과해야하는 건 아닌지, 당당하다면 의혹에 대해 조사를 받을 의향이 있는지 물어야 함에도 박 앵커는 묻지 않았다"며 "박 앵커가 마지막으로 한 질문이라곤 '이 이슈 가지고 부부싸움 안 하셨냐'뿐이었다. 현 KBS 뉴스9 앵커의 수준과 자질, 나아가 KBS가 얼마나 망가지고 있는지를 목도하는 순간이었다"고 비판했다.

박장범 후보는 이에 "인터뷰 대상자가 대통령이라고 해서 특별히 용어를 선택하지 않았다"며 "인터넷에 찾아보니 '디올 파우치'(여서) 파우치는 한국어로 풀어서 '크기가 작은 가방'을 표현한 것뿐"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하지만 박 후보는 23일 한국방송 사장 후보자 면접에 출석해 "왜 명품이라는 표현을 안 썼냐"에 대해 "기본적으로 언론에서 구분하는 품목은 생필품, 사치품이지 ‘명품’은 들어있지 않다"며 "수입산 사치품을 왜 명품이라고 불러야 하는지, 그건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라고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전국언론노조 KBS본부가 주최한 결의대회 모습. /사진=전국언론노조 KBS본부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전국언론노조 KBS본부가 주최한 결의대회 모습. /사진=전국언론노조 KBS본부

전국언론노조 KBS 본부 조합원 500여명은 23일 박 후보가 사장 최종 후보로 선정되자 오전부터 여의도 KBS 본관에서 사장 선임의 무효를 주장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KBS 본부는 입장문을 통해 "김 여사가 수수한 명품백을 '조그만 파우치'라 축소하며 KBS 뉴스를 용산 방송으로 만든 주범 박장범을 이사회가 최종 사장 후보로 임명제청한 것에 충격을 금치 못한다"며 "결국 이 정권이 언론을 장악해 무엇을 얻으려고 하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주었다"고 규탄했다. 

이어 "이진숙-김태규 2인체제 불법 방통위에 의해 추천돼 공영방송 이사가 된 이들은 이번 결정을 통해 스스로 정권의 하수인임을 자인했다"며 "불법적 이사회의 사장 임명제청을 인정할 수 없으며, 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에 맞서 끝까지 싸워 대한민국 대표 공영방송 KBS를 되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도 박장범 후보가 사장 후보에 선임된 것에 강하게 반발했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24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국민은 이 사건(파우치 발언)이 KBS를 '땡윤방송'으로 전락시킨 대표적인 사례로 기억한다"며 "박장범 앵커의 KBS 사장 후보자 선임이 '파우치 발언'에 대한 김건희 여사의 보은 인사로 여겨지는 이유"라고 전했다.

노 원내대변인은 "박장범 앵커의 본분을 망각한 편파적 진행이, 결국 KBS 사장을 향한 충성 맹세였다는 것인가"라면서 "땡윤방송이라는 비판 속에서도 그간의 편향된 태도와 정권 옹호가 결국 사장 자리를 겨냥한 행동이었음을 의힘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만약 윤석열 대통령이 기어이 박장범 앵커를 KBS 사장으로 임명한다면 이는 보은 인사를 넘어 '김건희 여사의 나라'가 현실화된 대한민국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희대의 망은인사로 기억될 것"이라면서 "더불어민주당은 부적격자 박장범 앵커의 사장 임명을 국민과 함께 막아내겠다"고 당부했다.

KBS 이사회의 야권 추천 이사 4명도 입장문을 통해 "박장범 KBS 사장후보자 임명제청은 무효"라며 "공영방송 KBS 안팎의 '위법 릴레이'는 도대체 언제 멈춰질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이사회 의결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는 등 KBS의 위법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한편, KBS 사장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임기는 오는 12월 10일부터 2027년까지 3년이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