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2025.06.18./뉴시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2025.06.18./뉴시스

이로운넷 = 남기창 책임에디터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최근 자신을 둘러싼 '노부부 투서 사건' 의혹 보도에 대해 "정치검찰과 찌라시 언론의 합작 음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김 후보자는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관련 의혹의 전말과 당시의 수사 경위를 공개하며 "검찰이 무혐의로 종결한 사건을 다시 언론에 흘려 악의적으로 재유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표적수사와 음해투서…검찰의 시나리오 반복되고 있어"

김 후보자는 "표적수사, 증거조작, 허위보도, 증인압박… 정치검찰이 써온 방식은 하나도 다르지 않다"며, 자신이 겪은 과거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일부 극우 유튜버들과 '언론을 빙자한 찌라시들'이 2005년 무혐의 처리된 이른바 '노부부 투서 사건'을 다시 들춰 보도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허위투서에 기반한 천인공노할 음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문제가 된 사건은 2005년 김 후보자가 야인으로 지내던 시기 벌어진 일이다. 김 후보자에 따르면, 한 지역 주민이 제3자에게 금전을 받고 청탁을 약속한 뒤, 김 후보자의 이름을 팔아 민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하자 "김 후보자에게 돈을 뜯겼다"는 내용의 허위 유서를 작성해 사망했다.

김 후보자는 "청탁 문자와 대화 녹취를 보좌관이 보존하고 있었고, 이를 검찰에 자진 제출함으로써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며, "이 증거가 없었다면 당시 나는 회복 불가능한 사회적 파멸을 겪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08년에도 검찰이 <월간조선>에 사건 흘려…이번에도 유사한 정황"

김 후보자는 해당 사건이 검찰에 의해 두 차례 활용됐다고 주장했다. "2008년 정치자금법 관련 두 번째 표적 수사를 받을 당시, 검찰은 캐비닛에 쌓아두었던 무혐의 사건 기록을 <월간조선>에 흘렸고, 해당 매체는 유서 내용을 기초로 의혹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검찰의 언론플레이가 아니었다면 나는 그 일에 대해 영원히 언급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사태에 대해서도 김 후보자는 유사한 시나리오가 재현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는 "검찰이 다시 허위투서 사건을 언론에 제공하고, 이를 빌미로 후보자 검증을 가장한 정치적 음해를 시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후보자 측은 이날 <알려드립니다>라는 제목의 공식 입장문도 발표했다. 입장문에서는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후보자와 가족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모든 행위에 대해 즉각 법적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검찰·언론 카르텔, 정치 암살도 서슴지 않아…진실 밝혀질 것"

김 후보자는 이번 사태에 대해 "검찰의 빨대가 된 일부 언론이 사람을 살리는 펜이 아니라, 사람을 암살하는 독 묻은 무기를 들고 있다"고 표현하며 "또다시 장난질에 당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20년 전 겪은 상처를 다시 꺼내는 일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알지만, 진실을 밝히는 책임을 회피할 수 없어 이렇게 나섰다"고 덧붙였다.

이어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지 못하더라도, 사람을 잡는 사냥꾼이 되어야겠다는 정치검찰의 논리에 더 이상 휘둘려선 안 된다"며, 이번 사안에 대해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다.

이번 사건은 김 후보자의 국무총리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불거진 정치적 논란으로, 윤석열 정부 시절 검찰권 남용 및 정치 개입 문제를 다시금 환기시키고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