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로운넷 = 이다빈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5일 화성 공장화재 사고 수습을 위해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경기도 공무원들에게 "가까운 분이 희생됐다는 생각으로 자기 일처럼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경기도청에서 열린 대책회의에서 "사고 수습부터 이주노동자에 대한 중장기적인 제도 개선과 필요한 조치가 완전히 마무리될 때까지 최선을 다해달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사고 당일인 24일 두 차례 현장을 방문해 대책을 지시한 데 이어, 이날도 구체적인 사고수습 대책을 추가 지시했다.
합동분향소 설치 및 이주노동자 지원 강조
김 지사는 희생자 가족들을 위한 공간 마련을 지시하며, 도청과 화성시청에도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희생자별로 도청과 시청에 각각 직원을 배치해 장례 절차를 지원하고, 유가족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을 당부했다.
김 지사는 신원 확인과 합동분향소 설치에도 속도를 내달라고 요청하며, "해당 기관과 협조해 빠른 시간 내에 희생자들의 신원을 확인하고 장례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하고, 시청과 협의해 합동분향소도 신속하게 설치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경기도청에 도민들이 추모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불법체류 이주노동자도 지원
김 지사는 외국인 이주노동자 지원에 대해 불법체류자에 대한 지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떤 이유로 한국에 왔는지 따지지 말고, 경기도에서 일하다 희생된 분들을 잘 모셔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외국에 있는 유가족들이 가시는 길에 함께할 수 있도록 항공료, 체재비, 통역사 지원까지 배려할 것을 당부했다.
김 지사는 사고 수습 진행과 관련해 "이번 사고를 보면서 이태원 참사를 떠올렸다"며, "정확한 정보와 경기도 대응 상황을 투명하게 국민들에게 알리라"고 지시했다. 그는 이태원 참사를 반면교사 삼아 불신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이주노동자들의 주거, 의료, 교육, 안전 문제를 포함한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그는 "특히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경쟁력을 갖춘 대한민국 국민으로 제대로 교육받을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김동연 지사는 25일 오후에도 화재 현장을 찾아 경기도 차원의 추가 지원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화성 아리셀 화재, 중대재해법 생긴 이후 최악 참사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로 23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로 인한 희생자 수는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최대 규모여서 추후 사고 처리 과정을 두고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전날(24일) 오전 10시31분께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전곡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났다.
이 사고로 23명이 숨지고 2명이 중상을, 6명이 경상을 입어 총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망자가 20명을 넘으며 화학공장 사업장 폭발 화재 사고 중 역대 최악으로 기록됐다. 1989년 전남 여수 국가산업단지 내 럭키화학 사고보다 피해 규모가 더 크다. 럭키화학 사고는 16명의 사망자와 17명의 부상자를 냈다.
또 이번 사고는 2022년 중대재해법이 시행된 이후 최악의 사업장 사고로 기록될 전망이다.
- 화성 공장 화재 30명 사상 대규모 참사…사망 22명 중 20명은 외국인 노동자
- [이로운요구]화성 리튬 배터리 화재폭발사고, 시민단체 "전지산업에 대한 종합안전대책 마련하라"
- [이로운경고]화성 리튬 공장 화재 사고, "위험의 와주화가 위험의 이주 노동자화로 변질"
- 김동연 지사 "화성 화재 희생자 유족에 긴급생계안정비 지원"
- [이로운요구]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36일, "정부와 사측은 즉각 근본 대책 마련하라"
- 아리셀 참사 55일째, 중대재해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희망버스' 55대 화성시로 집결
- [논평] 녹색당, "아리셀 책임자 박순관 구속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