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화성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 참사 나흘째인 27일 경기도 화성시청에 마련된 희생자 추모 분향소에서 추모객이 조문하고 있다. 2024.06.27./뉴시스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화성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 참사 나흘째인 27일 경기도 화성시청에 마련된 희생자 추모 분향소에서 추모객이 조문하고 있다. 2024.06.27./뉴시스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녹색당은 최근 발생한 화성 리튬 공장 화재 사고에 대해 깊은 애도를 표하며, 이번 사고가 보여주는 여러 사회적 문제들을 지적했다. 이번 사고로 23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당했으며, 사망자 중 18명이 이주 노동자였다.

녹색당은 이번 사고가 '위험의 외주화'가 '위험의 이주 노동자화'로 변질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소방서는 화재 피해자 대부분이 용역회사에서 파견된 일용직 이주 노동자들이며, 이들이 공장 내부 구조에 익숙하지 않아 인명피해가 더 컸다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은 민간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비용을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필연적 결과라는 설명이다.

녹색당은 "정규직 노동자 대신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비정규 노동자를 활용하는 체제가 강화되면서, 이들이 산업재해와 재난의 피해자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 사고는 이러한 현실을 투명하게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특히, 녹색당은 "이주 노동자들이 '더럽고, 어렵고, 위험한' 3D 업종에서 일하면서 한국 경제에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차별과 착취를 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참사는 이주 노동자들이 겪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는 것이라는 비판이다.

또한, 이번 사고가 리튬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했다는 점을 주목하며, 에너지 전환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한다고 언급했다.

녹색당은 "리튬 전지 제조 공장의 화재 참사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노동 현장의 위험성을 조명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녹색당은 현장을 찾은 대통령과 행정안전부의 대응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하며, "기업의 이윤과 경제성장을 앞세우는 사회 질서를 바꾸지 않으면 이러한 참사가 반복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전환 또한 차별과 착취를 강화하고 '이익의 사유화, 피해의 사회화'라는 현실을 연장시킬 뿐"이라고 덧붙였다.

녹색당은 이번 참사의 교훈을 기억하고 싸우는 것이 참사 피해자들에 대한 사회의 빚을 갚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