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서 만찬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5.26./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서 만찬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5.26./뉴시스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환경운동연합은 한·중·일 3국 정상에게 핵오염수 해양 투기 중단을 강력히 촉구하는 성명을 지난 25일 발표했다. 

앞서 전날인 26일 윤석열 대통령이 중국의 리창 총리, 일본의 기시다 총리와 연쇄 정상회담을 가지며, 27일에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예정돼 있다. 이 회의에서는 경제통상 협력,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인적 교류, 기후 변화 대응, 보건 및 고령화 대응, 재난 및 안전 협력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성명에서 "3국이 기후변화 대응과 보건, 재난 안전 등의 분야에서 협력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하면서도, 일본의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 투기 문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일본 정부는 인접국인 한국, 중국, 러시아와 자국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핵오염수 해양 투기를 강행했으며, 지금까지 약 4만7000톤의 오염수가 바다에 버려졌다. 이 오염수에는 삼중수소 7.4조 베크렐(Bq)과 기타 방사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해양 생태계에 큰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는 게 환동운동연합의 지적이다.

또한, 환경운동연합은 한·중·일 3국이 원전 부흥을 통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려는 정책이 잘못된 방향임을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와 한국 정부의 찬동은 침체된 원전 산업의 부흥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균형 있는 에너지 정책과는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중국 역시 핵발전 운영과 건설에 집중하며 핵오염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를 중단하고, 탈핵을 논의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정책을 마련할 것"을 3국 정상들에게 촉구했다.

이는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와 같은 비극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길이며, 진정한 국제 사회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한·중·일' 정상회담에 대한 표현을 '한·일·중'으로 표기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