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연금강화행동 회원들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시민 공론화 결과에 따른 연금개혁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5.22./뉴시스
공적연금강화행동 회원들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시민 공론화 결과에 따른 연금개혁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5.22./뉴시스

이로운넷 = 남기창 책임에디터

연금개혁의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야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국민연금 개혁안이 결국 22대 국회로 넘어가게 됐다. 이는 국민의 기대와 달리 연금개혁이 또다시 지연되는 상황을 초래하고 말았다.

연금개혁 논의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의 소득 대체율 문제로 막혀버렸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소득 대체율을 45%에서 43~44%로 양보할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국민의힘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이러한 제안이 채 상병 특검법 표결을 앞두고 정략적 의도가 있다고 주장하며 거부했다​​.

앞서 국민연금 개혁을 위한 공론화 과정에서 시민대표단의 56%가 '더 내고 더 받자'는 방안을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입법화가 지연되고 있는 셈이다.

공론화위원회는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 대체율을 40%에서 50%로 높이자는 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국민의 뜻이 국회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은 안타깝기만 하다.

국민연금 개혁안을 두고 시민대표단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현행보다 '더 내고 더 받자'는 이른바 '소득보장론'을 선택한 응답자가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래픽=뉴시스
국민연금 개혁안을 두고 시민대표단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현행보다 '더 내고 더 받자'는 이른바 '소득보장론'을 선택한 응답자가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래픽=뉴시스

국민의힘은 야당이 연금개혁을 정략적으로 활용한다고 비판하며, 지속 가능한 연금개혁안을 22대 국회에서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민주당의 제안이 위선적이고 정략적이라고 비판하며, "연금개혁은 국민의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국민의 의견을 존중해 21대 국회 내에 입법 성과를 이루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연금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정작 여당인 국민의힘이 개혁안에 반대하면서, 대통령의 개혁의지에도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국민연금 개혁을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공언했지만, 결국 여당이 개혁을 저지하는 상황에서 국민들은 대통령의 의지와 실질적인 개혁 추진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결국 '고양이 목에 누가 방을 달기 게임'이라는 연금개혁은 대통령의 정치력 부재로 국민연금 개혁의 지연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나올 만 하다.

연금개혁이 22대 국회로 넘어가면서, 새로운 국회가 개혁안을 어떻게 처리할지도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회를 놓치면 국민연금 개혁이 더욱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연금개혁의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여야는 책임 있는 자세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금개혁 지연은 국민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고 있다. 연금개혁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 없이 정략적인 계산만 앞세우는 정치권의 모습은 국민들에게 깊은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다. 이번 국민연금 개혁 논의는 정치적 갈등과 정치 부재로 인해 다시 한 번 좌절되고 만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여당은 국민을 위한 연금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협력을 이끌어내지 못해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연금개혁은 국민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과제인 만큼, 정치권은 이번 교훈을 바탕으로 더욱 책임감 있는 자세로 22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은 정치권이 진정으로 국민의 미래를 위해 일하는 모습을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