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시민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12.07./뉴시스
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시민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12.07./뉴시스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12월 5일, 전 세계 78개국, 1,000여 개 도시에 거주하는 재외동포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규탄하며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은 발표 후 하루도 되지 않아 1만여 명의 재외동포 서명을 이끌어내며, 국제적 민주주의 수호 운동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계엄령을 선포했다. 2시간 반 만에 국회는 계엄령 해제를 결의했고, 대통령은 이튿날 새벽 공식적으로 계엄령 해제를 선언했다. 그러나 재외동포 단체들은 이를 "헌법과 법률을 명백히 위반한 내란죄"로 규정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번 시국선언문은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해 활동해 온 재외동포 단체들인 ▲미시간 세사모 ▲4.16 해외연대 ▲샌프란시스코 공감 ▲스프링 세계시민연대가 공동으로 작성했다. 선언문은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평가된 계엄령 사태를 규탄하며 국제사회에 대한민국의 위기를 알리고자 했다.

재외동포 시국선언문은 윤석열 대통령과 관련자들에 대한 법적 책임을 강력히 요구하며 다음과 같은 핵심 사항을 담았다.

윤석열 대통령과 군 고위 관계자의 즉각 퇴진 및 처벌

윤석열 대통령과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즉각 퇴진하며 내란죄로 법적 심판을 받아야 한다.

내란죄로 대통령 체포 및 공범 처벌

검찰과 경찰은 윤 대통령을 내란죄로 즉각 체포하고, 그의 계엄령 선포에 가담한 모든 공범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

▲국민의힘 탄핵 동참 요구

국민의힘은 민의를 거스르는 행동을 멈추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

이번 시국선언에는 전 세계 78개국, 1,000여 개 도시에서 재외동포들이 참여하며 강력한 연대를 보여줬다.

참여국으로는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호주 등 주요 국가뿐 아니라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네덜란드,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가 포함되었다. 선언문은 영어로도 번역되어 국제사회에 널리 확산되었다.

재외동포들은 시국선언문 서명과 함께 깊은 분노와 연대의 메시지를 남겼다.

미국의 한 서명자는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을 대표하는 수장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독재자다. 즉각 탄핵과 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덜란드의 한 참가자는 "친위 쿠데타를 통해 민주주의를 유린한 행위는 반드시 엄중히 처벌받아야 한다.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이번 사태를 철저히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서명한 한 동포는 "해외에 있지만 내 조국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는 일에 동참하겠다"고 다짐했다.

시국선언문 서명 웹사이트에는 참여자들이 남긴 수많은 코멘트가 올라왔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의도적 행위로 규정했다.

많은 참여자는 "민주주의는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켜야 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하며,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윤 대통령의 퇴진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시국선언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위기에 대한 국제적 경각심을 일깨우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재외동포들의 연대는 단순한 서명을 넘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한 행동주의의 일환으로 자리 잡았다.

선언문 작성 단체들은 "시국선언문 서명 운동은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과 책임자 처벌이 실현될 때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재외동포들의 시국선언은 전 세계 한인 사회의 단결을 보여주는 동시에,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번 선언은 국제사회와 대한민국 국민 모두에게 민주주의와 헌법 가치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상기시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행동과 연대를 예고하고 있다.

시국선언문 서명 캠페인은 계속 진행 중이며, 참여자 수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하는 글로벌 동포들의 강렬한 의지를 반영하며, 윤석열 정권에 대한 국내외 압박을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