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복 인천시장(왼쪽부터), 오세훈 서울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서울시장·경기도지사·인천시장 3자 회담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청 홈페이지)
정복 인천시장(왼쪽부터), 오세훈 서울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서울시장·경기도지사·인천시장 3자 회담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청 홈페이지)

오 시장과 김 지사, 유 시장은 16일 오후 6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만나 대체 매립지 재공모 절차, 기후동행카드 등 수도권 교통 현안, 한강 아라뱃길 등 관광 활성화, 메가시티 서울 등에 대한 논의에 나섰다.

수도권 도시의 서울 편입을 비롯한 '메가시티' 논의는 정치권을 넘어 전국적으로 뜨거운 이슈다. 김병수 김포시장과 백경현 구리시장은 최근 차례로 오 시장을 만나 편입 희망 의사를 전달했고, 국민의힘은 특별법 발의로 속도를 붙였다. 이날 3자 회동은 메가시티 구상이 불거진 이후 첫 만남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을 끌었지만 예상대로 접점을 찾진 못했다.

오 시장은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서울, 경기, 인천 등 3개 지자체가 수도권 교통 현안 공동 연구, 아라뱃길 실크로드 조성 등 관광 활성화 노력, 대체 매립지 재공모 추진 등과 관련해 상당한 의견 접근이 있었다"며 "그러나 메가시티 문제에 대해 서울과 인천, 경기가 현격한 입장차가 있었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김포시의 서울 편입으로 이 사안이 시작됐는데,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메가시티 논의가) 서울시의 연담화(도시가 확대되며 다른 행정구역의 시가지와 맞닿는 것) 역사와 연장선상에 있다는 생각인 데 반해, 김 지사는 선거를 앞두고 사실상 불가능한 논의의 제기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6일 국민의힘이 김포시를 서울에 편입하는 김포·서울 통합특별법(약칭)을 발의한 것에 대해 "비전도 내용도 없다"면서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인 쇼를 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유 시장은 "기본적으로 행정체계 개편에 대해 옳다, 그르다고 얘기한 적은 없다. 평상시에 갖고 있던 입장은 행정체계가 미래 지향적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현실적으로 총선 앞에 이 사안을 처리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다. 지금 논의하는 것에는 방법론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16일 오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16일 오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김 지사는 16일 오후 6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과의 비공개 3자 회동 후 취재진과 만나 "지금 이 정부는 모든 걸 거꾸로 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특별법 발의했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지방자치법에 의한 지방의회 의견도 수렴하지 않고, 주민투표 준비도 없었다. 비전과 내용도 없이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쇼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국민의 70%가 현실성 없는 정치 총선용이라고 말했다. 이미 국민들의 심판이 끝난 일이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아니라 '총선과 함께 사라질' 이슈"라고 보탰다.

김 지사는 또한 "개탄스럽다. 이와 같은 정치 사기극에 대해 국민 여러분이 두 눈을 부릅뜨고 대한민국이 나아갈 길에 대해 정확히 보고 판단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서울 편입 이슈로 현재 추진 중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구상이 주춤한 것을 두고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는 경기 북부만 위한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 발전과 성장을 위한 것"이라면서, "도나 광역시 중 세 번째로 크다. 그 곳을 발전시킬 비전과 정책을 제시했고, 만일 계획대로 했을 경우 대한민국 전체 성장률을 올릴 비전도 제시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단계로 주민투표 요청을 해뒀다고 설명한 김 지사는 "우리는 비전 제시부터 모든 절차, 의견 수렴을 다 거쳤다. 김포의 서울 편입은 어떤 비전과 절차를 거쳤느냐"면서, "중앙정부에서 특별자치도를 소극적으로 하거나 반대하면 국민들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가 주민투표에 전향적인 모습을 보여주길 촉구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