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0만, 공동체가 약화된 대도시 ‘서울’에서 마을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키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지역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한 서울형 업종을 키우고, 정부·지자체의 공공정책과 연결한 전략적 육성을 시행하며, 지속가능한 모델이 되도록 지원사업을 개선 및 재편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9일 ‘마을기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계획 수립연구 결과보고 간담회’가 온라인을 통해 개최됐다.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이하 서사경)는 서울의 마을기업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해 마을기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추진했으며, 마무리를 앞두고 결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연구 용역을 맡은 HR 전문 컨설팅 기관 ‘나비프로젝트’가 내용을 발표했다.

‘마을기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계획 수립연구’는 서울시 마을기업 지원사업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성과 분석을 통해 향후 마을기업 활성화 정책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됐다./자료제공=서사경
‘마을기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계획 수립연구’는 서울시 마을기업 지원사업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성과 분석을 통해 향후 마을기업 활성화 정책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됐다./자료제공=서사경

지난 6월부터 시작된 이번 연구는 △마을기업 성과분석을 통한 발전 전략 도출 △시민체감형 마을기업 발전 및 육성정책 과제 수립 등을 주요 목표로 진행됐다.

김경아 나비프로젝트 연구원은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추진계획에 따라 지역 수요를 반영한 시민 중심의 사회적경제 확산과 마을기업의 질적 수준 향상과 정부 정책과 환경 변화에 따른 지원 및 방향 설정 등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을 설명했다.

연구는 △마을기업 실태조사 등 선행연구 검토 △마을기업 대상 의견 조사 △실무자·활동가·종사자 등 대상 심층면접(FGI) 조사 △마을기업 지원사업 실적 보고서 등을 통한 데이터 분석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이뤄졌다. 

마을기업 96개, 전국 8위 “서울 특성 반영한 지원 필요”

서울시 마을기업 현황에 대한 인포그래픽. 2019년 기준 전국 1555개 마을기업 중 서울은 96개로 전국 8위다. 서울시 사회적경제 조직이 총 4834개임을 비교했을 때도 개수가 다소 낮은 편이다./자료제공=서사경
서울시 마을기업 현황에 대한 인포그래픽. 2019년 기준 전국 1555개 마을기업 중 서울은 96개로 전국 8위다. 서울시 사회적경제 조직이 총 4834개임을 비교했을 때도 개수가 다소 낮은 편이다./자료제공=서사경

먼저 문헌분석 결과 서울시 마을기업은 2014년 125개에서 2020년 현재 96개로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다. 전국 마을기업 1500개에 비하면 서울은 전체 8위로, 상대적으로 숫자가 적은 편이다. 김 연구원은 “공동체가 약화된 대도시 환경에서 공동체 회복과 지역경제 순환은 어려운 과제이며, 사업 경험의 부족과 열악한 자본력, 지원정책 부족 등에서 오는 한계 등이 존재한다”라고 이야기했다.

이에 대한 발전 방향으로 “서울의 특성을 반영한 마을기업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전국을 대상으로 공모하는 행정안전부의 마을기업은 ‘지역자원의 활용성’이 핵심인데, 서울은 타 지역과 달리 자연자원이 풍부하지 않고, 돌봄이나 유통 등 서비스업의 비중이 크다. 서사경은 지난 2015년부터 마을기업 지원기관 역할을 맡으며 서울에 적합한 마을기업 모델을 정립해 확산하는 한편, 서울시의 다양한 사회적경제 정책과 연계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마을기업과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 분석 결과,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경영 악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견이 공통으로 나타났다. 행정·네트워크 등 사업 외 업무가 과중하고, 홍보·마케팅 분야 전문 인력을 고용할 자본이 부족해 이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도 드러났다.

주거·돌봄·먹거리, 시민 필요에 맞는 업종 집중해야

향후 효과적인 마을기업 지원방법에 대해서는 주거·돌봄·먹거리·교육·생활서비스 등 서울에 맞는 마을기업 적합 업종을 선정해 육성하자는 의견이 많은 동의를 받았다. 또한 행안부 마을기업 설립 요건이 아닌, 지역주민이 자원을 활용해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는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 관점에서 지원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분석도 공감을 받았다. 

방호성 나비프로젝트 책임연구원은 “도시재생·커뮤니티케어·사회주택 등 공공정책과 연결한 마을기업의 전략적 육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와 정부·지자체·중간지원조직 등 마을기업 관련 주체들의 역할을 세분화하고, 시민중심·시민참여로 사업을 구체화하는 실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등 의견도 나왔다”고 소개했다.

19일 오전 10시 서울혁신파크 내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서로배움터2에서 열린 ‘마을기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계획 수립연구 결과보고 간담회’.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 발효에 따라 조주연 센터장(오른쪽) 등 주요 관계자 외 참석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참여했다./사진제공=서사경
19일 오전 10시 서울혁신파크 내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서로배움터2에서 열린 ‘마을기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계획 수립연구 결과보고 간담회’.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 발효에 따라 조주연 센터장(오른쪽) 등 주요 관계자 외 참석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참여했다./사진제공=서사경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연구 내용에 대한 생각을 덧붙였다. 이현미 서울시 사회적경제 성장지원팀장은 “같이살림 프로젝트, 주민기술학교, 돌봄SOS 등 시민의 생활문제를 해결하려는 시의 정책 사업이 많은데, 이를 지속하기 위해 주민모임이나 공동체에서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제시해줬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김승균 가톨릭대 사회혁신센터장은 “지원사업의 효과가 있는데 마을기업의 수가 줄어드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 현재 마을기업을 준비하는 공동체나 한때 운영했다 폐업한 조직 등을 인터뷰해보면 어떨까”라고 제안하며 “사회적경제 2.0 확대를 위해 마을기업의 단위를 뛰어넘는 사회적경제 조직과의 연대 등을 고민해 양적 성장보다는 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라는 주장을 덧붙였다.

박치득 은평구사회적경제허브센터장은 “마을기업에 대한 양적 지원은 충분하지만, 시기나 다양화 측면에서 맞춤형 질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공공정책과 연계된 사업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부분에 크게 동의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관점에서 마을기업에 가장 적절한 업종이 무엇인지 들여다봐야 한다. 은평의 경우 돌봄·먹거리·에너지에 집중하고 있으며,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발맞춰 가려고 한다”라고 사례를 들었다.

향후 ‘마을기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계획 수립연구’는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취합하고 반영해 최종 발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조주연 서사경 센터장은 “서울은 다른 광역도시나 농촌 지역과 달라서 ‘서울형 마을기업’에 대한 브랜드가 필요한 시점이다”라며 “이번 연구를 토대로 서울의 장점을 잘 반영해 활성화한다면, 마을기업이 서울의 사회적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