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핵선언대회 - 2025 대선, 윤석열의 핵 정책을 파면한다./사진제공= 탈핵시민행동
탈핵선언대회 - 2025 대선, 윤석열의 핵 정책을 파면한다./사진제공= 탈핵시민행동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

전국 481개 범시민사회단체가 모여 윤석열 전 대통령의 핵 중심 에너지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고, 2025년 조기 대선을 앞둔 각 정당과 예비 대선 후보들에게 ‘탈핵’을 공식 약속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4월 24일 오전 서울에서 열린 <탈핵선언대회 - 2025 대선, 윤석열의 핵 정책을 파면한다> 행사에서 "지난 4개월간 광장을 밝힌 빛의 연대를 계승해, 핵발전을 멈추고 정의로운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루자'고 결의하며, 핵정책에 반대하는 시민 퍼포먼스와 부문별 발언을 통해 탈핵 의지를 천명했다.

행사에서는 각 단체의 목소리를 상징하는 무지개색 현수막이 펼쳐졌고, 말미에는 핵폐기물을 짊어진 윤석열 전 대통령을 상징하는 인형에 “핵과 함께 잘 가라”고 외치는 퍼포먼스가 이어졌다.

4월 24일 열린 '탈핵선언대회 - 2025 대선, 윤석열의 핵 정책을 파면한다.'에서 핵폐기물을 짊어지고 쓰러진 윤석열 전대통령에게 "핵과 함께 잘 가라"고 인사하는 시민들의 퍼포먼스 ./사진제공= 탈핵시민행동
4월 24일 열린 '탈핵선언대회 - 2025 대선, 윤석열의 핵 정책을 파면한다.'에서 핵폐기물을 짊어지고 쓰러진 윤석열 전대통령에게 "핵과 함께 잘 가라"고 인사하는 시민들의 퍼포먼스 ./사진제공= 탈핵시민행동

선언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은 6대 요구를 정치권에 제시했다.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 금지 및 정의로운 지역 전환 ▲신규 핵발전소 및 소형모듈원자로(SMR) 추가 건설 반대 ▲핵발전소 피해 주민 이주대책 마련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중단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중단 ▲핵무기 개발 금지 및 한반도 비핵화 실현

김은정 기후위기비상행동 운영위원장은 "윤석열 정부가 기후위기를 핑계로 핵을 부활시키려 하지만, 이는 재생에너지의 기회를 빼앗는 일"이라며, "탈핵은 생존을 위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이상명 경기 에너지협동조합 이사장은 "재생에너지가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한 에너지원"이라며, "시민 주도형 에너지 전환이야말로 지역균형 발전과 에너지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양기석 종교환경회의 공동대표는 "불법 계엄사태로 귀결된 윤석열 정부의 개발지상주의는 탈핵의 정당성을 더욱 명확히 했다"고 비판하며, "새 정부는 핵 없는 에너지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영아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팀장은 "지구종말시계가 자정 89초 전을 가리키고 있다"며, "대선 후보들은 한반도 비핵화를 명확히 약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소영 녹색법률센터 부소장은 "헌법이 보장한 환경권과 기후권 보호를 위해 핵 정책은 즉각 중단돼야 하며, 피해 주민 보호와 초고압 송전선 중단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으뜸지기는 "체르노빌 참사 39주년을 맞아 여성과 아이들에게 더 치명적인 핵의 위험을 되새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연주 생태전환 학부모·시민행동 365 부단장은 "아이들의 교육 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핵 정책은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라며, "지금이야말로 탈핵 교육과 사회 인식 전환의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김추령 지구환경에너지위원회 위원은 "SMR은 거품일 뿐이며, 이미 실패로 증명되었다"며, "기후위기 대응에는 허상이 아닌 실질적 탈핵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민호 서울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은 "수도권에는 짓지 못하면서 지방에 강요되는 원전은 불공정의 상징"이라며, "탈핵과 재생에너지, 돌봄과 연대의 길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선언대회는 윤석열 정부의 핵중심 정책을 ‘퇴진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2025 대선을 ‘탈핵과 에너지정의’를 새롭게 시작하는 분기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시민사회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참석자들은 "더 이상 성장만을 앞세운 위험한 핵 정책은 용납될 수 없다”며, “정치권은 지금 당장 탈핵을 선언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