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로운넷 = 남기창 책임에디터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를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 이후에도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머물고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앞서 지난 2022년 당선인 시절, 당시 문재인 대통령에게 협의 없이 "임기 시작과 동시에 청와대를 전면 개방하겠다"고 밝히며 퇴거를 압박했던 과거와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당시 문 전 대통령은 임기 종료 전날인 2022년 5월 9일 자정을 기해 임기를 마쳤고, 이후 숙소를 옮겨 호텔에서 1박을 한 뒤 윤석열 취임식에 참석했다.
반면, 윤 전 대통령은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파면 선고를 받고도 여전히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여당 정치인들을 잇달아 만나는 등 '전직 대통령 행세'를 계속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방 빼라" 여론 거세…"왜 아직 관저에?"비판 잇따라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파면된 전직 대통령이 아직도 대통령인 양 여당 지도부의 예방을 받고 정치에 훈수 두는 모습은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고 지적했다. 황정아 민주당 대변인도 “왜 아직도 대통령 관저의 주인 행세를 하고 있느냐"며 비판했다.
취재를 종합하면 윤 전 대통령 부부는 9일 전후로 아크로비스타(서초동 자택)로 거처를 옮길 계획이다. 한남동 관저는 여전히 조용한 상태이며, 정리 작업에 시간이 걸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당일(금요일) 이후 2일 만인 일요일 밤 관저를 떠난 바 있어, 윤 전 대통령의 퇴거 지연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사과 없이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정치 재개 시사?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이후 사흘 만에 내놓은 첫 메시지에서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며 여운을 남겼다.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싸운 여러분의 여정은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기록될 것"이라는 발언도 함께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해당 발언을 두고 "사과 없이 내놓은 정치적 메시지는 명백한 불복이며 선동"이라며 "윤석열 내란 수괴를 다시 구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은 7일부터 대통령기록물 이관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관 대상은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 28개 기관이다.
특히 계엄령 관련 국무회의록, 계엄상황일지 등의 ‘지정기록물’ 지정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기록물 지정 권한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넘어간 상태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직후 정진석 비서실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나경원 의원 등 여권 핵심 인사들과 연이어 관저에서 만나며 활발한 정치 접촉을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그가 조기 대선 국면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청와대를 조기 비워달라 요구했던 윤 전 대통령이 정작 본인은 파면 이후에도 대통령 관저에 머무는 모습에 '이중잣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향후 정치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국민과 정치권은 조속한 퇴거와 명확한 입장 정리를 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