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열린 국회 앞 기자회견 현장./사진제공=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저지공동행동
22일 열린 국회 앞 기자회견 현장./사진제공=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저지공동행동

이로운넷 = 이정석 기자…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투기 1년을 맞아 환경 단체와 정치권이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염수 투기의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22일 열린 기자회견에는 오염수 공동행동, 오염수 공동행동 연대 단체, 더불어민주당(이수진 의원, 김현정 의원, 박해철 의원, 위성곤 의원, 김성환 의원), 조국혁신당(서왕진 의원), 진보당(전종덕 의원), 기본소득당(용혜인 의원), 사회민주당(한창민 의원) 등 제 단체/정당 구성원 참석했으며,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을 요구하는 각계의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기자회견 진행 이전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는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투기 1년, 과연 안전한가? - 이제 국회가 나서야 할 때!"를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IAEA 보고서의 비과학과 문제점’, ‘법률적 쟁점과 대응’, ‘어민들의 피해 상황과 현재’, ‘입법 과제’, ‘시민사회와 국회 연대 방안’, ‘소비자 인식 변화’를 주제로 열띤 토론과 대응 방안을 이야기했다.

기자회견은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에서 방사성 오염수를 바다로 방출한 지 1년이 되는 시점을 기념해 열렸다. 지난 1년 동안 일본은 7차례의 해양투기를 진행했으며, 현재 8차 투기가 진행 중이다. 이로 인해 해양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전국어민회총연맹 김영복 부회장은 첫 발언자로 나서 "정부가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노력했지만, 어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은 없었다"며 "국회가 나서서 핵 오염수로 피해를 입은 어민들을 지원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핵 오염수 해양투기 1년 맞아 22일 국회 계단에서 열린 기자회견 에서 이수진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환경운동연합
핵 오염수 해양투기 1년 맞아 22일 국회 계단에서 열린 기자회견 에서 이수진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환경운동연합

이어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은 "홍콩과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데, 우리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일본 정부에 강력히 대처할 것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대외협력위원장은 "윤석열 정부가 일본의 눈치만 보며 오염수 투기의 안전성을 홍보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비판했다.

조국혁신당 서왕진 의원은 "윤석열 정부는 일본 정부의 편에 서서 국민의 우려와 전문가들의 경고를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우리 정부가 후쿠시마 연안에서 시료를 채취해 직접 안전성을 검증할 권한을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행위를 막아야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오염수 해양투기의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핵 오염수 해양투기 1년 맞아 22일 국회 계단에서 열린 기자회견 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제공=환경운동연합
핵 오염수 해양투기 1년 맞아 22일 국회 계단에서 열린 기자회견 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제공=환경운동연합

기자회견은 참석자들이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과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를 외치는 구호를 함께 외치며 마무리되었다. 이날 기자회견은 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참석해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