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성장이 둔화한 현 시점, 5조 달러(약 6000조 원) 규모의 거대 시장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 40억 명이 넘는 ‘BOP(Bottom Of the Pyramid)’를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다. BOP는 직역하면 ‘피라미드의 밑바닥’으로 소득계층의 최하단 저소득층?빈곤층을 말한다. 최근 여러 기업에서 BOP를 대상으로 한 교육?보건?일자리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BOP가 원조의 수혜자인 동시에 거래의 주체로 떠오르면서 국제사회는 지속가능한 방식의 발전을 고민하고 있다. 국내에서 사회적경제 방식으로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이끌어온 주요 현황과 사례, 제3세계 진출과 지원을 고민하는 당사자를 위한 과제 등을 정리해봤다.
한국 정부가 개발도상국 주민들을 위해 진행한 식수 개선 사업./사진제공=ODA KOREA

“빈곤 문제를 위한 솔루션 제공이 소셜 미션인 동시에 비즈니스 모델이다.”

최근 제3세계에 진출한 사회적경제 기업을 들여다보면,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저소득층이 필요로 하는 욕구에 주목한다. 전기를 필요로 하는 인도네시아 주민들에게 램프를 저가에 보급하거나(루미르), 우간다 아이들의 식수 문제 개선을 돕는 가방을 개발하거나(제리백), 교육 기회가 적은 탄자니아 아동들을 위한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보급하는 식(에누마)이다.

선진국과 개도국의 빈부 격차를 줄이고, 개도국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정부 주도의 ‘원조(ODA)’ 정책에서 사회적경제 조직을 주체로 세운 ‘상호거래’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양극화 해소, 일자리 창출, 지역문제 해결 등 공동 이익과 사회적가치를 실현하는 사회적경제 기업들의 해외 진출 및 현지화는 보다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도국을 변화시키고 있다.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는 제2차 세계대전 전후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작됐다. ODA는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 사회복진 증진을 목표로 기금이나 식량, 물품, 기술 등을 지원해주는 것을 말한다. 

수여국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한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역사(돋보기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디자인=윤미소

국내 ODA 정책을 총괄하는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한국은 1950년대 6.25전쟁 직후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미국?일본?독일 등으로부터 총 120억 달러를 지원받으면서 경제?사회적 발전을 이뤘다. 1970년대 경제 성장이 본격화되면서 역으로 개도국에 물자나 기술을 공급하기도 했다. 선진국에서 원조를 받는 ‘수여국’인 동시에 개도국에 원조를 제공하는 ‘공여국’이기도 한 셈이다.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룬 한국은 2000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공여국 협의체인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의 수여국 명단에서 최종 졸업했으며, 2010년에는 DAC의 24번째 회원이 되면서 공여국으로 발돋움한다.

2000년대 들어서는 세계 사회의 ODA 방식이 일방적 ‘원조’보다는 선진국과 개도국의 포괄적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으로 중심축이 옮겨간다. 2000년 UN이 발표한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에 따라 절대 빈곤을 퇴출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힘을 모았으며, 2014년부터는 MDGs를 잇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바탕으로 빈곤 종식을 위해 머리를 맞대는 중이다.

정부의 ODA는 사업은 개도국 주민들을 위한 일회적 지원에서 보다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다./사진제공=ODA KOREA

선진국의 ‘자선’ 활동만으로 개도국의 빈곤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 ‘교역’으로 중심축이 옮겨가기 시작한다. 개도국 주민들이 겪는 문제를 상호거래로 해결하고 동시에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적경제 방식’으로 전환한 것이다.

사회적경제 기업의 해외진출을 돕는 ‘사람인협동조합’의 김영석 위원은 “사회문제 해결에 아이디어를 가진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국내에서 해외로 시야를 넓혀 자신들의 제품과 서비스의 판매 시장을 확장했다”고 말했다.

ODA 관련 사회적경제 기업의 해외진출은 정부의 대외 무상 협력 사업을 담당하는 공공기관 ‘코이카(KOICA)’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회적가치 창출에 앞장서는 민간 기업이나 단체에서도 2010년 이후 사회적경제 기업의 개도국 진출 및 현지 설립 지원에 팔을 걷었다. △함께일하는재단의 ‘스마일투게더파트너십(STP)’ △SK이노베이션의 사회적기업 해외 현지 설립 △현대자동차의 ‘H-온드림 오디션’ 아시아 사회적기업가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