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운넷 = 최봉애 기자

국립부여박물은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충남 부여 금강사지 조사 현황과 국립박물관 모든 소장품을 분석·조사한 결과를 '부여 금강사지' 보고서로 발간했다. 

국립부여박물관은 100년 조사 기록을 총망라한 '부여 금강사지' 보고서 발간했다.(국립부여박물관 제공)
국립부여박물관은 100년 조사 기록을 총망라한 '부여 금강사지' 보고서 발간했다.(국립부여박물관 제공)

국립부여박물관의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보고 시리즈 중 아홉 번째 보고서이다. 책에는 부여 금강사지에서 출토된 일제강점기, 1960년대 국립박물관 발굴품은 물론 전국에 흩어져 있는 1,300여 점의 유물을 총망라했다. 

이를 토대로 백제 사비기에 창건되어 폐사와 재건 속에 고려시대까지 이어진 금강사의 위상을 파악했다. 부여 금강사지는 일제강점기에 ‘부여 금공리사지’로 최초 보고되어 유물이 수습되었지만, 광복 이후 1960년대 우리 손으로 발굴한 최초의 백제 사찰이기도 하다. 조사 후 많은 이들이 이곳을 답사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유물이 국내외 박물관으로 분산되기도 했다. 

이에 국립부여박물관은 각 소장 기관의 유물을 정리하고, 국립박물관에서 발굴·구입·기증으로 소장 중인 600여 점의 유물 사진, 도면과 고찰을 수록했다.

보고서에서는 사찰 중심 사역의 정확한 위치를 새롭게 공개했다. 특히 1960년대 발굴 도면과 흑백 필름을 확보하고, 국립부여박물관 소장품 중 일제강점기 금강사지에서 수습되어 후지사와 가즈오(藤澤一夫)가 기록한 유물 12점을 최초 공개했다. 

해당 보고서는 국립부여박물관과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