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퇴계 이황 종가 설 차례상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 퇴계 이황 종가 설 차례상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산김씨 유일재 종택 설 차례상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광산김씨 유일재 종택 설 차례상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일반 가정의 설 차례상.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일반 가정의 설 차례상.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은 이번 설 명절부터라도 제삿상 아닌 차례상 차리기를 권한다.

 "차례(茶禮)는 조상에게 예(禮)를 올리는 간단한 의식이고, 제사는 기일을 맞은 조상의 영혼을 기리고 달래는 추모의례입니다. 하지만 많은 가정들이 명절 아침에 차례상이 아닌 제삿상을 차립니다."

그렇다면 차례상과 제삿상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9일 한국국학진흥원에 따르면 차례는 설과 추석 등 명절이 돌아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는 의식이다.

이 때 차(茶)를 올렸던 습속에서 유래된 용어가 차례이다.

반면, 제사(祭祀)는 고인 기일에 조상의 영혼을 모셔 와 음식을 대접하는 의례이다.

설날과 추석에는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지 않고 '차례를 올린다'라고 하는 이유다.명절 차례상에는 차가 중심이 되고, 기일 제사상에는 각양각색 음식이 차려진다.

예법 지침서인 주자가례(朱子家禮)에도 차례상에는 술 한잔, 차 한잔, 과일 한 쟁반을 차리고 술도 한 번만 올리고 축문도 읽지 않는 것으로 돼 있다.

이렇듯이 원래 간결했던 차례음식이 경제적 여유가 생겨나고 유통구조가 발달하면서 점차 늘어났다.

그러다 보니 우리사회에서 차례상은 사라지고 제삿상만 남게 됐다.

전통 격식을 지키는 종가에서는 지금도 술, 떡국, 전 한 접시, 과일 한 쟁반 등 주자가례 원칙을 크게 벗어나지 않은 차례상을 마련한다.

하지만 세세한 예법이나 격식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일반 가정에서는 차례라는 형식만 따를 뿐 조상을 잘 대접하고 모신다는 생각에서 여러가지 음식을 준비한다.

일반가정 차례상에 오르는 음식 종류와 양도 종가에 비해 많다.

한국국학진흥원이 2017년부터 제례문화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예서(禮書)와 종가, 일반 가정의 설차례상에 진설하는 제수를 조사한 결과 전통 예서와 종가에 비해 일반 가정의 차례 음식이 평균 5~6배 가량 많았다.

해당 조사에서 전통 격식을 지키는 종가의 설 차례상은 '주자가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경북 안동의 퇴계 이황 종가에서는 술, 떡국, 포, 전 한 접시, 과일 한 쟁반 등 5가지 제수를 진설한다.

과일 쟁반에는 대추 3개, 밤 5개, 배 1개, 감 1개, 사과 1개, 귤 1개를 담았다.

'주자가례'에 비해 차가 생략되고, 대신 떡국과 전, 북어포를 추가했다.

진성이씨 노송정 종택 설 차례상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진성이씨 노송정 종택 설 차례상 (사진=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설 차례상에 떡국이 올라가면 밥을 생략한다.

일반 가정 차례상에는 평균 25~30가지의 제수가 올라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일은 종류별로 별도의 제기에 각각 담았으며, 그 외 어류와 육류, 삼색 채소, 각종 유과 등이 추가됐다.

'주자가례'는 차례상에 술과 과일 등 간단한 음식을 차리지 않고 제사음식을 잔뜩 올려놓으면 '참람(僭濫, 지나치거나 넘치는 것)'이라고 해서 '비례(非禮, 예가 아니다)'로 간주했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많고 크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전통예법에서는 모자라는 것보다 넘쳐나는 것을 경계했다"며 "차례상의 본래 모습을 되살린다면 예법도 지키고 차례음식 장만을 둘러싼 가족 갈등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