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사 제사상 (사진=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제공)
기제사 제사상 (사진=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제공)

 "제사상은 간단한 반상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더 올리거나 생일상처럼 차려도 좋다."

최영갑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2일 오전 국회의사당 국회소통관에서 '2023 전통제례바로알리기' 기자회견을 열고 ‘전통제례 보존 및 현대화 권고안’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일반 가정이 각자의 형편에 맞게 제사를 지내던 방식을 대부분 수용한 내용이다.

최 위원장은 "이번 권고안 발표는 제사가 너무 번거롭고 힘들어서 지내지 못하겠다는 분들을 위해서 마음의 짐을 덜어드리고자 발표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권고안의 진설을 살펴보면 기제(조상의 사망일에 지내는 제사)의 경우 밥과 국, 술과 과일 3종 등을 포함, 간소화했다. 묘제(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는 술과 떡, 간장, 포, 적, 과일이 진설 되고, 과일의 경우 한 접시에 여러 과일을 같이 올렸다. 또한 가정의 문화, 지역의 특성, 제사의 형식, 형편에 따라 달리 지낼 수 있다.

2일 국회 소통관에서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2023 전통제례바로알리기' 기자회견을 열고 전통제례 보존을 위한 방안과 현대화 제사 권고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제공)
2일 국회 소통관에서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2023 전통제례바로알리기' 기자회견을 열고 전통제례 보존을 위한 방안과 현대화 제사 권고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제공)

최 위원장은 일반가정에서 지내는 제사 권고안에 대해 "주자가례에 의하면 제례에는 사시제, 시조제, 선조제, 예제(禰祭), 기일제(忌日祭), 묘제(墓祭)의 6가지가 있는데 지금 남은 것은 기일제, 시제 중 일부와 묘제가 남아 있다"며 "그 중에서 일반가정에서는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일제를 가장 많이 지내고 있기에 기일제에 중점을 두고 발표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제사의 핵심은 사랑과 공경으로 정성을 다함에 있다"며 "돌아가신 분을 그리워하는 가족이 모여 안부를 묻고 화합하는 시간이 돼야 한다 제사상은 간단한 반상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더 올리거나 생일상처럼 차려도 좋다"고 말했다.

제사상은 밥과 국, 술과 과일 3종을 포함해 간소화했다. 묘제는 술 떡, 간장, 포, 적, 과일이 진설되고, 과일의 경우 한 접시에 여러 과일을 같이 올렸다. 가정 문화, 지역 특성, 제사 형식, 형편에 따라 달리 지낼 수 있다. 

제사절차는 제주가 향을 피우고 모사기(茅沙器)에 술을 세 번 나눠 붓고 난 뒤 제사 참가자 모두 두 번 절한다. 이후 술을 한번 올리고 축문을 읽은 후 묵념한다. 제사 참가자들은 다시 두 번 절하고 상을 정리한 다음 축문을 태우고 제사를 마친다.

제사 시간은 돌아가신 날의 첫새벽(자시(子時), 23시~01시)에 지내야 하지만 가족과 합의해 돌아가신 날의 초저녁(18~20시)에 지내도 좋다

제사음식은 고인을 추모하는 가족 모두가 함께 준비하고 외국인도 제사를 지낼 수 있다.  부모 기일이 다르면 돌아가신 날 각각 지내는 것이 좋지만 합해서 지내도 좋다.  지방을 쓰기 어려운 경우는  사진을 사용하고 축문은 한문으로 써도 된다.

이번 전통제례 보존 및 현대화 권고안은 최근 설문조사 결과 등을 반영한 결과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에 따르면 성인 10명 중 6명이 제사를 지내고 있지만 앞으로 제사를 지속할 의향이 있는 사람은 4명 남짓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례 문화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5.9%가 앞으로 제사를 지낼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반면에 제사를 지낼 계획이 있다는 답변은 44.1%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