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6일, 청년의날 기념식에서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인사하고 있다./출처=더불어민주당
지난 11월 6일, 청년의날 기념식에서 만난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인사하고 있다./출처=더불어민주당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는 앞다투어 청년정치인을 내세우고 있다. MZ세대, 이대남·녀(20대 남성과 여성) 현상 등이 사회이슈로 주목받으면서, 청년들의 표심을 당겨오기 위해 나서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은 공동선대위원장에 청년 영입인재를 앉히는 등 파격을 선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게 합류한 조동연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 노재승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은 각종 논란으로 나란히 조기 낙마했다. 이를 두고, 청년인재 영입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진정성없이 선거용으로 ‘반짝’ 효과를 위해 청년을 앞세우려다보니 발생한 사태 아니냐는 것이다.

기성정치권이 청년을 바라보는 시선에 문제가 있기에 이러한 비판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기자가 만난 여러 정당에서 활동 중인 청년정치인들은 한 목소리로 “중앙정치 활동에만 주목받는 문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다수의 정당 청년정치인들은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곤 한다. 당내 분위기에 휩쓸려 중앙이슈에만 주목하다 보면, 정작 지역·생활 이슈에 대한 고민을 게을리하며 국민과 멀어지기 마련이다. 지역에서 활동하며 주민들과 함께 호흡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청년이 피부로 느끼는 이슈 역시 생활 속에 있기도 하다. 청년일자리 창출, 신산업 육성 등 구호보다는 진로상담 기회 확대, 게임 규제 등이 더 피부에 와닿는 의제일 수 있다는 말이다.

"청년정치인을 ‘청년’이라는 세대 안에 가두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당은 청년정치인이 청년의제를 담당해주길 원한다. 하지만 50대 정치인은 50대가 직면한 문제에만, 여성정치인이라고 젠더이슈에만 관심갖지 않는다. 

청년 정치인도 마찬가지다. 청년이지만, 다양한 차원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의제설정을 할 수 있다. 제한된 역할을 부여하는 순간 창의가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진정 청년을 위한 정치를 기대한다면, 이들의 활동범위에 제한을 둬선 안된다. 청년정치에 폭넓은 기회를 보장하고 정석을 강요하지 않을 때, 비로소 청년은 물론이고 전 세대의 호응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