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직은 과연 ‘사회적’일까?’ ‘사회적가치를 추구하는 경제활동이란 무엇일까?’

사회적경제 조직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해본 질문일 것이다. 그 답에 대한 첫 걸음으로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이하 센터)가 ‘서울형 사회가치지표’ 개발과 확산에 나섰다.

센터는 4일 오후 3시부터 ‘서울형 사회가치지표 온라인 설명회’를 열어 서울형 사회가치지표의 탄생 배경부터 최종안이 나오기까지 과정을 설명하고, 사회적경제 조직 스스로 지표를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안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센터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 시청할 수 있다.

서울시는 지난 10년 간 사회혁신, 마을공동체, 사회적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민관 협치를 중심으로 자발적 시민참여를 견인하고 참여기반을 확장해왔다. 이러한 경험은 서울이라는 복잡한 대도시 속에서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회문제 해결 가능성과 지역협력 역량 강화를 기대하게 했다. 이에 현행 중앙정부(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사회적가치지표(SVI: Social Value Index)를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보다 서울의 경험과 역량을 고려한 심화된 사회가치지표가 요구됐다.

서울형 사회가치지표 연구는 (주)나비프로젝트 방호성 대표와 센터 시민경제연구실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이들은 7개월간 서울시 소재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회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개발과 시범측정을 수행했다. 또한 업종·업력을 고려한 사회적경제 조직 간담회, 사회가치지표 관련 전문가 간담회 등을 바탕으로 지표의 내용과 타당성을 검토했다.

서울형 사회가치지표는 미션실천성과, 지역협력성과, 내부운영성과의 3개 성과영역에서 총 10개 활동 내용을 측정한다.

‘미션실천성과’는 서울시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회문제 해결 기여도, ‘지역협력성과’는 지역사회와의 협력도를 측정하며 ‘내부운영성과’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SVI 기준을 준용한다.

10개 활동은 △미션기반 기획 △자원확보 △민주적 운영 △환경친화 △사회적 자산 확보 △윤리 경영 △사회적 성과 달성 △지역 협력 △공동체 성장 △지역네트워크 협력으로 구성된다.

49개 조직 중 인증사회적기업이 53%, 예비사회적기업이 43%였으며, 법인형태로는 주식회사가 57%, 협동조합(사회적협동조합)이 35%, 기타(소셜벤처, 사단법인)가 8%였다. 업종으로는 교육서비스업(11개),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8개) 등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았다.

서울 소재 49개 사회적경제 조직을 대상으로 시범측정을 실시한 결과 10개 활동(각 10점 만점)의 총점 평균은 70.41점이며, 윤리경영활동(9.27), 미션기반 기획활동(8.49)이 높게, 사회적 자산 확보활동(5.06), 환경 친화적 활동(5.27)이 낮게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서울의 사회적경제 조직은 윤리 경영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사회적 자산 확보와 환경 친화적 활동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향후 부문별, 업종별 가중치를 적용해 사회가치지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고,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회가치 창출을 위한 조직 지원이나 투자 시 다양한 활동 차원의 평가 항목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설명회 내용을 담은 ‘서울형 사회가치지표 개발 및 측정 연구’ 보고서는 센터 홈페이지(https://sehub.net)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지난 2월 23일 진행된 ‘2020 연구결과 공유회’ 유튜브 영상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조주연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은 “향후 각종 지원사업 선발 시 서울형 사회가치지표를 반영하고, 나아가 공공구매 기업정보, 사회가치거래소 등에 적용하는 등 폭넓은 활용을 통해 조직의 사회적 가치를 확인하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회적경제 기업가라면 누구나 서울형 사회가치지표를 측정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오픈된 플랫폼을 마련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사회적경제 정책 통합 및 지속 가능한 기반 조성을 위해 2013년 1월 설립된 민관 거버넌스 기관이다. 센터는 지역·업종·부문별 사회적경제 기업과 지원조직의 네트워크를 촉진하고, 서울시와 자치구의 통합적 정책 환경을 조성하는 등 공동 사업 기반을 마련한다. 또한 기업 성장 단계별 지원을 비롯해 사회투자, 공공구매, 윤리적 소비문화 확산을 통해 기업과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등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