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과 사회적경제의 이슈가 높아지면서 기업과 재단의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가치 투자에 관심과 이슈가 높아졌고, 그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사회적기업에 대한 성과 평가의 이슈가 자연스럽게 생겨났습니다. 그러나, '빵을 나눠줬더니 모두가 즐거워했다~'라는 표현만으로는, 사회가치에 얼마나 기여가 되었는지 판단하기가 모호하며, 이 모호함은 사회적기업의 가치 평가는 물론,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 경영을 고민할 때에도 큰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일찍부터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이 발달한 해외에서는 ROI와 같은 기업의 성과측정 방식을 참고하면서도,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가치를 산술적으로 표현하는 측정도구의 개발에 힘써왔습니다.

국내도 사회적경제 이슈가 커지면서 이러한 사회적가치 측정도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SROI, IRIS 등을 바로 도입이 가능하다는 주장과 , 해외와 국내의 사회적기업의 생태계가 다른 만큰 국내 실정에 맞는 가치측정도구를 새로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습니다.

그럼, 과연 사회적가치의 측정도구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대표적인 SROI, IRIS, GIIRS, GRI G3, OASES 의 내용을 취합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Angie Torres via Compfight

1. SROI (Social Returen on Investment)

가. 기업의 투자 수익률(ROI)처럼 사회적기업이 올린 사회적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사회적기업이나 비영리 조직이 생산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통합해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론으로,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하기 쉬운 사회적 가치를 화폐가치로 객관화하였음.

나. 고용형 사회적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미국의 비영리 민간 재단인 REDF(Roberts Enterprise Development Fund)와 Jed Emerson이 2000년 개발. 국내에서는 이승규교수(KAIST)와 라준영교수(카톨릭대)가 고용노동부의 지원으로 SROI 모델을 개발 중.

다. 사회적 ROI(SROI) = 사회적회수(returns) / 투자 (investment),
- 사회적회수(returns) : 사회적 편익 - 사회적비용 = 사회적 부가가치

라. SROI의 7가지 원칙
1) 이해관계자 참여(Involve stakeholders)
2) 변화의 이해 (Understand what changes)
3) 가치화 (Value the things that matter)
4) 중요성 (Only include what is metaerrial)
5) 과대 산정 불가 (Do not over-claim)
6) 투명성 (Be transparent)
7) 결과검증 (Verify the result)

마. SROI의 분석 6단계
1) 범위와 이해관계자 확인 (Establishing scope and indentifying stakeholders)
2) 결과물 매핑 (Mapping outcomes)
3) 가치화 (Evidencing outcomes and giving them a value)
4) 영향력 확정 (Establishing impact)
5) 산출 (Calculating the SROI)
6) 보고, 활용 및 내재화 (Reporting, using and embedding)

라. SROI는 어떤 조직이나 프로젝트, 정책이 수행한 사업의 Social Impact를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 ‘비용-효과’ 분석에 기반하여 가치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큰 그림을 확인하고 의사결정자의 판단 근거로 활용하는 방법.
때문에, SROI는 기본적으로 사회/환경적 비용대비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논리 위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좋은 사업을 선별하고 판단하기 위한 접근법이지 그 자체로 사회적 기업의 표준이나 기준일 수는 없음.
- 문제점 : 사회적 투자와 비용의 개념이 모호하고, 외부성과 이해관계자 자산 개념의 부재로 사회적 비용 개념이 자의적이고 측정이 매우 복잡

참고자료 :
1. SROI NETWORK
2. Social Return on Investment: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in 30 Seconds {ashoka.org}
* 30초만에 배우는 SROI(Social Return on Investment)
3. 사회적기업 성과 측정 기법 사회적투자수익률' 지표 도입을{경향신문}

2. IRIS (Impact Reporting & Investment Standards)

가. 사회혁신 벤처들의 경영 활동이나 투자 포트폴리오 성과를 지표화하여 사회적 가치를 기술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기본 템플릿으로 사회/환경적 가치를 정리하고 논의 할 때 공통의 양식과 언어를 사용하자는 취지로 만들어 졌으며, 사회적 기업이 자기의 비즈니스 특성에 맞게 성과지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를 제공.

나. 2008년 미국의 록펠러재단, 어큐먼 펀드, B랩의 초안을 만들어 제시하면서 출발했고, 지금은 GIIN(Global Impact Investment Network)에서 관리/발전시키고 있으며 현재 2.0 버전이 적용되고 있음.58개국의 463개의 사회적기업과 이들의 고객 7,994,642명을 포함하고 또한 1,931개의 마이크로파이낸싱기관(MFI)의 데이터를 축적, 이를 기반한 성과평가 진행.

다. IRIS의 5가지 구성 요소
1) 조직(Organization Description) : Organization Information, Impact Objectives
2) 제품/서비스(Product Description) : Product/Service Information, Target Beneficiary
3) 재무 성과(Financial Performance) : Income Statement, Balance Sheet, Cash Flow, Ratios/Concepts/Calculations
4) 조직 운영에서 나오는 사회적 가치(Operational Impact) : Governace & Ownership, Social Policies, Environmental Policies, Environmental Performance, Employees, Wages, Training & Assessment
5) 제품의 사회적 가치(Product Impact) : Quantity & Reach, Quality & Performance, Client Information, Supplier Information, Destributor information
* 8가지 분야(Sector) : 크로스섹터(Cross-sector), 농업(Agriculture), 교육(Education), 에너지(Energy), 환경(Environment), 금융 서비스(Financial Services), 의료(Health), 주택/공공시설(Housing/Community Facilities), 물(Water)

라. IRIS 평가방식
1) 개별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소속섹터(예: 중남미의 마이크로파이낸싱 사업센터)의 평균적 또는 최선(Best Practice)의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와 비교하는 상대평가 방식 가능
2) 해당 사회적기업의 평가는 섹터별로 도출될 경제적 및 사회적 평가지표군(Metrics)별로 수행되며, 섹터기준치(평균, 중간값, 최대치/최소치 등)대비 해당기업의 위상을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방식

마. IRIS 평가시스템의 특징
1) 광범위한 과거 데이터 축적에 근거한 평가방식 : 58개국의 463개 사회적기업과 이들의 고객 7,994,642 명을 포함. 1,931개의 마이크로파이낸싱기관의 데이터를 축적
2) 섹터별로 특화된 평가방식 : 섹터고유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 평가지표별로 과거 사회적기업들의 성과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음
3) 섹터 내 비교가능성의 강화 : 동종섹터 내 개별 사회적기업과 여타 사회적기업의 비교 가능
4) 섹터 간 비교의 오류가능성 배제 : SROI의 경우 결과수치로는 상이한 섹터에 소속된 개별 사회적기업의 가치창출을 비교가능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으니 IRIS의 경우 섹터 간 비교는 구조적으로 차단
5) 섹터별 가치평가지표 Metrics의 구체성 및 섹터 특화성 : 개별 섹터별 지표 간 상관관계의 분석이 가능하여 최선의 사회적 가치 창출 방식 및 이에 대당하는 관련지표를 사전적으로 인식가능
6) 주요 국제적 사회적 투자기관들의 참여로 구축된 평가시스템 : 대규모 소셜미션재단 및 유수한 사회적투자자들이 활용하기로 합의한 시스템으로 향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
7) 데이터의 신뢰성 : ANDE, PULSE, MIX 등 국제적으로 공인된 데이터수집파트너들과의 협력방식으로 데이터 구축
아. 국제적 비교가능성 및 통용성 : 세계 50여 개 국의 사회적 기업 참여 및 확장 추세
8) 네트워크효과 및 확장가능성 : IRIS 는 참여하는 기관이 많아질수록 데이터의 양과 질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더 많은 기관이 참여하게 되는 선순환적 네트워크 효과 존재

참고자료 :
1. IRIS : http://iris.thegiin.org
2. IRIS 레포트 샘플
3. 사회적 가치 측정 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 연구{한국사회적기업 진흥원. 2011.12}

3. GIIRS (Global Impact Investing Ratings System)

가. 미국의 비영리 조직인 B-코퍼레이션의 연구소 B-Lab이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려는(임팩트 투자) 사업 혹은 기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IRIS를 기반으로 만든 사회적 평가 시스템.

나. 온라인상에서 GIIRS 분석 플랫폼으로 통해 사회적기업의 자료입력 및 평가, 리포팅 시스템을 구현. 25개 임팩트 투자 펀드, 전 세계 30개국, 200개 이상의 기업에서 25개의 임팩트 투자 펀드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지난 2012년 2월 발표.

다. 기존의 임팩트 측정 시스템인 BSC, B Rating, SIA 와의 차이점 :
- IRIS 언어체계를 사용하면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공통된 언어체계를 제공하여 사회가치 측정의 국제적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으로, GIIRS는 IRIS를 사용함으로써 투자자와 기업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에게 비교성과 신뢰성을 제공. 사회적 투자(임팩트 투자)에 대한 불확실한 측정 기준으로 투자를 꺼려왔던 금융기관들이나 재단들이 생각을 바꾸어, 보다 적극적으로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

라. IRIS & GIIRS 파트너 네트워크
- Founding Partnets : Acumen Fund, B Lab, Rockefeller Fundation
- Funding Partners : Rockefeller Foundation, USAID(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 Adoption and Data Sharing Partners : ANDE(Aspen Network of Development Entrepreneurs), B Lab, MIX(Microfinance Information Exchange), GIIRS
- Technology Partners : App-X(Application Experts), Deloitte, Hitachi Consulting, PricewaterhouseCoopers, Business Reporting - Advisory Group, XE Currency Exchange Rates

참고자료 :
1. GIIRS : http://www.giirs.org
2. 국제적 사회적 가치 측정 표준 시스템, GIIRS 런칭{배네핏 매거진}
3. 새로운 친구 기어스(GIIRS)를 소개합니다.{임팩트스퀘어}

4. GRI G3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G3 /G3.1)

가. 미국의 환경 관련 시민단체인 CERES와 UN환경계획 UNEP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기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에서 제시한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작성에 관한 국제 가이드라인

나. GRI G3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조직 성과를 측정, 공개하고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그에 걸맞은 책임을 약속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GRI의 프레임워크에 기반을 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는 일정 보고 기간동안 조직의 활동, 전략과 경영 방식등을 공개하며,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
- 법률, 규범, 규정, 성과 기준, 자발적 이니셔티브 대비 지속가능경영 성과평가 및 비교
- 보고 조직과 지속가능발전 간의 상호 작용 입증
- 조직 내부 및 외부 조직 간 성과 비교

다. 2006년 발표된 G3 가이드라인은 경제,환경, 노동, 인권, 사회, 제품책임 등 다양한 측면의 지속가능경영 지표를 포함하지만, 경제, 환경 분야 이외 지표들의 측정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미흡하고 기업들의 부정적인 정보까지 균형 있게 보고하도록 하는데 부족.이제, 인권, 지역사회, 성별 분야의 지표 개발을 인식한 GRI는 각 분야별 Working Group 의 연구를 진행하여 2011년 3월 G3.1 가이드 라인을 발표.
- G3.1 가이드라인은 기존 G3의 79개 지표에서 5개 지표가 더해져 총 84개로 확대되었으며 인권, 지역사회, 성별과 관련된 지표가 추가. 이를 토대로 의견과 여론을 수립하여 2013년 5월에 G4 가이드라인 발표 예정

라. GRI 가이드라인 적용 국내기업 :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포스코, 토지공사, BAT코리아, 현대해상, 한국전력, 롯데백화점, 수자원공사, 한화석유화학 등

참고자료 :
1. Global Reporting Initiative
2. G3.1 Guidelines :
3. GRI G3.1 가이드라인 개정의 주요내용(에코프론티어)
4. 한국SR전략연구소 G4 초안분석 :
5. GRI G3 ?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가이드라인 G3 버전(한글){GRI. 2006}
6. GRI G3.1 Guidelines {GRI, 2011.03}

5. OASES (Outcome Assessment for Social Enterprise)

가. 영국의 Social Enterprise London(SEL)에서 수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로 사회적기업들이 자신들의 성과와 사회적 영향도를 측정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고를 수 있도록 개발한 프레임워크.

나.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사회적기업들이 자신의 성과와 사회적 영향도를 평가해보고, 사회적기업 성과 측정의 역할과 중요성을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교육 워크숍을 진행.
- 워크숍은 이틀 동안 진행, 첫째날에는 워크숍 평가에서 제안된 '사회적 성과 및 영향도 측정의 필요성' 사전 워크숍이 진행 / 둘째날 워크숍 이후에는사회적기업별 1대1 사후 지원 등이 진행. SEL은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국으로 확산시킬 계획.

참고자료 :
1. Impact Assessment


참고) SE임팩트 투자 가치특정 도구의 평가
* 출처:사회적기업의 가치측정 및 평가- 라준영 카톨릭대교수(2012.07)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