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시청 로비에서 열린 공공구매 박람회.

“우리 마을의 공공기관조차 지역 내 사회적경제기업이 아닌 대기업과 거래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럴 때 마을기업은 왜 만들었나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

노정은 도시마을협동조합 대표의 설명이다. 여러 공공기관에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서비스 구매를 장려하고 있지만, 당사자 기관은 사회적경제기업과 거래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구매촉진에 노력하고 있지만,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전체 공공기관 및 국가기관 사회적기업제품 구매증가율./자료=윤후덕 의원실

이는 통계로도 증명된다. 최근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가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사회적기업수는 2122개 기업으로, 전년대비 16.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증가율은 2016년 0.25%에서 2018년 0.23%로 감소했다. 국가기관 사회적기업제품 구매율은 2016년 0.66%에서 2018년 0.98%로 증가했지만, 아직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증가하는 사회적기업을 구매 규모가 따라잡지 못한 결과일 수 있지만, 2011년 이탈리아 협동조합 매출의 65.3%가 공공구매에서 발생한다는 지표와 비교해도 한참 뒤쳐졌다(출처 ISTAT).

윤 의원은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법정 의무구매비율이 없고,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해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비율 증가폭 또한 크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관(官)조차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을 활발하게 구매하지 않는데, 민간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기를 기대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최근 제주도에도 종합상사가 출범할 예정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전국 사회적경제조직은 종합유통상사, 공공구매지원센터 등을 설립하며 판로개척에 노력중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태도다. 공공에서 직접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서비스를 구매한다면 사회적경제조직에 힘을 실어줌과 동시에 민간시장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공공이 사회적경제기업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경제기업도 전문성이 필요해요. 이를 위한 고민과 노력을 하고 있고요. 사회적경제기업과 공공기관 양 쪽에서 노력했으면 좋겠어요.” (노정은 대표)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