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 국제 예술제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에 출품된 ‘평화의 소녀상’이 출품된지 3일 만에 전시 중단 통보를 받았다./사진제공=김운성 작가

‘평화의 소녀상(이하 소녀상)’이 일본 최대 국제예술제인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에서 출품된 지 3일 만에 사라졌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과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의 일방적 통보로 인한 강제 전시 중단이다. 

지난 1일 시작한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프로그램 중 하나인 ‘표현의 부자유展-그 이후’는 그동안 일본 정부의 외압으로 전시되지 못한 현대미술 작품을 한데 모은 기획전으로 마련됐다. 

한국의 김운성·김서경 부부 작가가 위안부 피해자들의 아픈 역사를 잊지 말자는 의미를 담아 제작한 소녀상도 전시됐다. 그러나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의 일방적 통보로 지난 3일 오후 6시부로 전시가 중단됐다. 

전시 개막 때부터 가와무라 다카시 나고야 시장은 “소녀상 전시는 일본 국민의 마음을 짓밟는 것”이라는 망언을 내뱉었으며, 스가 관방장관은 “예술제에 대한 보조금 교부 여부에 신중히 대응하겠다”고 발언하는 등 일본 정치권 내에서 반발이 심했다. 여기에 일본 우익 세력이 “소녀상을 철거하지 않으면, 휘발유 탱크를 몰고 전시장에 가겠다”는 협박까지 이어졌다. 

결국 사흘 만에 전시는 중단됐고 전시관 입구는 닫혔으며, 소녀상은 곧 철거될 예정이라고 알려졌다. 전시 중단 통보를 받은 일본의 큐레이터들은 3일 저녁 기자회견을 통해 “역사적 폭거이며 전후 일본의 최대 검열 사건이 될 것”이라면서 크게 항의했다. 본 전시에 참여한 다른 한국인 작가들도 작품을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영화 '김복동' 스틸 컷.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 촉구를 위해 2011년 종로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세워졌다./사진제공=엣나인필름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국내 비영리단체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 측은 5일 입장문을 통해 “이번 ‘표현의 부자유展’ 중단 결정은 아베 정권의 압력이 작용했다”며 “아베 정권은 역사적 폭거행위, 전쟁범죄 가해사실 부정행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정의연은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와 여성 인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따리전’과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인 ‘표현의 부자유展-그 이후’에 참여한 한국 작가 일동과 공동 입장문을 냈다.

이들은 “소녀상 철거 등 일본군 성노예제와 관련한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탄압행위는 예술가들의 표현의 자유를 탄압한 것”이라며 “전시관람을 통해 일본이 저지른 과거의 전쟁범죄의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고자 했던 시민들의 권리를 박탈한 것임을 아베정권은 똑똑히 알아야 할 것”이라고 규탄했다. 

한국 정부 역시 “소녀상 전시가 중단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뜻을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5일 “문화예술의 창작과 표현의 자유는 어떠한 경우에도 존중돼야 하며, 조속히 정상화되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외신에서도 이번 전시 중단에 우려를 표했다. 뉴욕타임즈는 지난 3일 “아이치 트리엔날레 측이 전화와 이메일로 테러 협박을 받은 후 소녀상을 전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며 “일본과 한국의 관계가 수십년 만에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틀어졌다”고 전했다.

소녀상이 처음 세워진 것은 지난 2011년 12월 14일이다. 김운성·김서경 부부 작가가 당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 1000회를 기념해 서울 종로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세웠다. 이후 시민들의 자발적 모금으로 크기, 디자인이 다른 소녀상들이 전국을 넘어 해외 곳곳에 100개 이상 설치돼 피해 사실을 알리고 있다. 그러나 위안부 역사를 부정하는 아베 정부는 소녀상 철거를 집요하게 요구하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