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환경관련 이슈에 별로 관심이 없어요. 서울은 훨씬 낫죠?”

“○○는 저희 같은 청년들이 일할 만한 환경이 없어요. 서울로 가야 일자리를 얻을 수 있거든요. 저희가 직접 시작한 이유에요”

“여기서 이런 거 하면 바로 정치적인 시각으로 바라봐요. 서울은 조금 다르죠?”

“제 지인도 ○○에서 일하려고 올라왔어요. 거긴 문화미개척지거든요...”

‘지역’ 취재를 가서 취재원과 이야기를 나눌 때 심심찮게 접하는 말들이다. 이들이 말하는 환경과 여건이 열악함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직접 보지 못했지만, 이들이 느끼는 심리적 박탈감을 접하기는 충분했다.

박탈감은 우리가 사용하는 일상 속 단어에도 접할 수 있다. 소위 ‘인(in)서울’ 대학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 청소년기는 인서울인가 아닌가로 가치가 매겨진다(물론 하늘 위로 더 높은 캐슬이 있긴 하지만). 이에 반해 전국에 있는 대다수 대학은 ‘지방대’ 심하게는 '지잡대'라는 정체불명의 단어로 눙쳐진다. 서울을 제외한 지방(지역)을 입시에서 뒤쳐진 ‘실패자, 낙오자’의 공간으로 낙인찍는 문제 역시 심각하다.

일상에서 심심찮게 사용하는 ‘촌스럽다’는 표현도 그렇다. 급격한 근대화를 통해 만들어진 도시와 달리 ‘도시화’되지 못한 지역은 시류에 뒤처지는, 혹은 근대화의 세례를 입지 못한 ‘덜개발된, 미개한’ 지역으로 남았다. 어느 한 분야가 노력한다고 쉽게 풀 수 없는, 수많은 문제가 얽히고 설킨 복잡한 문제들이다.

취재원들이 무심히 던진 말들이 늘 맴돌던 중 접한 전북 완주의 소식은 그래서 더욱 반갑다. 전북 완주군은 최근 고용노동부 ‘2019년 사회적기업 육성 우수 자치단체’ 시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완주군은 지역 사회 문제를 사회적경제 주체가 참여해 해결하는 등 사회적기업 발굴·육성 생태계를 조성해 왔다. ‘완주 소셜굿즈(Social Goods) 2025 플랜’을 통해 지역 현안을 선정하고, 사회적경제 주체가 이를 해결하는 방법도 시도하고 있다. 완주군은 이를 위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개발한 사회적가치지표(SVI)도 ‘완주형 사회적가치지표’로 새롭게 개발했다.

사회적기업 육성 우수 자치단체 중 전북 완주군이 대상을 받았다. 완주군은 지난 2017년 소셜굿즈 2025 플랜을 발표하고, 양질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해 사회적경제 조직을 육성하고 지역자립과 순환경제를 추진 중이다. /사진=완주군

하승창 前 청와대 사회혁신수석은 지난 25일 본지 2030세이가담 기조연설을 하면서 본지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예전에는 중앙에서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지금은 한 도시 성공사례를 확산하는 방식으로 변했다”며 “지역마다 구체적인 상태에 따라 저마다 해법을 찾는다”고 말했다. 전북 완주군이 전해온 대상 소식은 하 전 수석의 발언을 실제로 보여준 사례로도 주목할 만하다.

여전히 사회적경제를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사업이나 일자리 창출 수단 등에 국한해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완주군이 보여주었듯 사회적경제에는 ‘지역 문제를 지역이 주체들이 스스로 해결한다’는 자조 정신이 녹아있다. 고용노동부 역시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적기업 육성과 지원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등으로 지역 자율성을 높여 가겠다”고 방향성을 제시했다.

각 지역이 저마다 가진 문제를 풀며 사회적경제가 성장해 간다면, ‘지방’으로 눙쳐졌던 각 지역이 저마다 특색을 드러내고, 취재원들이 푸념하던 박탈감과 심리적 종속도 조금씩 줄어가지 않을까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