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공정무역을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농업과 기후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지구상의 밀림은 빠른 속도로 파괴되고 있습니다. 8천년 전에는 지구 지표의 절반이 밀림이었지만 지금은 그 밀림의 80%가 사라졌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사라지는 숲의 80% 이상이 플랜테이션을 만들기 위해 불태워집니다. 이걸 '애그리비즈니스'라고 합니다. 이것은 지구의 자연조절 메커니즘을 완전히 무력화시킵니다.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산업은 무엇일까요? 농업입니다. 농업은 기후의존적 산업이라고 합니다.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산업은 무엇일까요? 역시 농업입니다. 농업은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산업이지만 동시에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산업입니다. 매년 수백만 헥타르의 땅이 황폐해지고 버려집니다. 대규모 플랜테이션 농장을 만들기 위해 밀림을 불태우고 나무의 증산작용을 중단시킴으로서 물의 순환작용을 파괴합니다. 숲은 나무의 증산작용을 통해 수증기를 공급하고 그 수증기가 비로 내리는데 숲이 파괴되면 이 순환이 파괴되고 내리는 비의 양은 대폭 감소합니다. 토양은 바람에 침식되고 땅은 점점 더 건조해집니다. 사막화의 시작입니다. 

거기에 대규모 기업농이 지하수를 독점하여 대수층을 고갈시키고 농약과 비료를 뿌립니다. 비료가 증발하면서 아산화질소가 되면 이산화탄소보다 수백배나 강력한 온실가스를 만듭니다. 물의 독점은 극심한 가뭄과 물부족 현상을 초래합니다. 온난화는 농업, 특히 소농들에게 절대적 영향을 미칩니다. 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세계 전체 배출량의 10%에 육박합니다. 단일산업으로는 엄청난 규모입니다. 실제로 육류의 생산과 소비 전 과정으로 확대하면 전세계 온실가스의 20%를 차지합니다.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전체 곡물의 3/1이 동물용 사료로 사용됩니다. 

밀 1Kg 생산에 천리터의 물이 사용되지만 소고기 1Kg 생산에 십만리터의 물이 사용됩니다. 승용차 한 대가 내뿜는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7톤이지만 소 한 마리가 내뿜는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무려 4톤입니다. 전세계 가축이 내뿜는 메탄가스 량은 연간 1억톤입니다.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itential)는 이산화탄소의 온실효과를 1로 했을 때 메탄은 21배입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에 비해 최초 10년간은 100배 더 많은 온실효과를 유발합니다. 질소비료인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무려 310배나 높은 온실효과를 유발합니다. 

소농이 살아야 지구가 살고 인류가 살 수 있다. 공정무역은 소농을 살리는 거래 방식이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왜 지구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지, 왜 급격하게 기후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 이유는 플랜테이션 농장을 건설하기 위해 밀림을 불태우고 축산업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인도네시아의 밀림을 불태우고, 동남아의 맹그로브 숲을 베어내고, 남미의 아마존을 불태웁니다. 인류의 허파를 불태우고 거기에 콩밭을 만들거나 동물사료용 경작지를 만듭니다. 

지난해 파괴된 아마존 열대우림이 13,471㎢에 달한다고 합니다. 서울, 경기 인천을 다 합친 것보다 무려 1000㎢ 더 큽니다.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의 주범은 축산업과 콩 재배입니다. 아마존 열대우림이 위치한 브라질 중앙 북부 등지에는 다국적 곡물회사 공장들이 자리하여 가축 사료로 사용되는 대두와 옥수수가 대량 재배, 수출하고 있습니다. 콩은 다른 곡물보다 빠르게 소를 살찌우기 때문에 다국적 곡물기업들이 대두를 대량 수출하는 집중생산체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온니화는 엄청난 규모로 밀림을 파괴하고, 동물사료용 경작지를 만들고, GMO 콩과 옥수수를 재배하고, 팜오일나무를 심고, 엄청난 농약과 비료를 살포하는 플랜테이션 농업에 그 이유가 있습니다. 대규모 기업농의 플랜테이션 농장은 몰을 독점하기 때문에 남반구의 소농들은 자기 땅이 있어도 농사를 지을 수 없습니다. 

단작 플랜테이션 농장은 아프리카에서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훼산업은 물산업입니다. 유럽에서 판매되는 장미의 70~80%는 대부분 아프리카에서 재배되어 들여옵니다. 화훼농장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어떻게 할까요? 아프리카는 물이 부족한 대륙입니다. 아프리카 대륙의 땅 밑에는 거대한 지하수가 흐릅니다. 화훼농장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하에 관을 박아 지하수를 뽑아 올립니다. 그러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땅 밑의 지하수가 솟아오르는 물로 농사를 짓는 소농들의 땅에 더 이상 물이 안 나오게 되는 겁니다. 소농들은 영문도 모르고 물이 없어 농사를 짓지 못하게 됩니다. 이렇게 농사를 지을 수 없어  굶주리면 어떻게 될까요? 난민이 되는 겁니다. 그들은 자기 땅을 떠나 도시로 갑니다. 도시에는 먹을 있을까요? 일자리가 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IS라는 테러단체입니다. 시리아, 나이지리아, 예멘 등 내전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물 부족입니다. 50만 명이 죽고 750만 명의 난민을 발생시킨 것은 바로 단작 플랜테이션 농장의 물 독점과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지구의 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초래하는데 이것의 결정적 이유는 농업에 있습니다. 대기 중 이산화틴소의 농도의 증가 추이는 가공할 속도입니다. 90년대까지 매년 1.5ppm, 10년 전부터 매년 2.2ppm, 4년 전부터 매년 3.4ppm으로 급격하게 증대하고 있는 이유는 농업에 있습니다. 

소농은 전 세계 고용 인구의 42%를 차지합니다. 소농이 유지되어야 지구는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공정무역은 소농을 살리는 거래 방식입니다. 소농이 살아야 지구가 살고 인류가 살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