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사회적경제 박람회를 찾은 한 시민이 사회적기업 부스의 설명을 읽고 있다. /사진=박재하

지난 5~7일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사회적경제계 최대 규모의 통합 박람회라는 명성에 걸맞게 정부 17개 부처, 국내 사회적경제계 기업 부스 150여 개가 참여했으며, 3일간 5만여 명이 방문하는 성과를 냈다.

얼핏 보면 첫 통합 박람회였던 작년 대구 행사보다 더 성공적인 듯하다. 개막식을 전후로 ‘사회적경제’ 키워드의 포털 노출 수가 월등히 앞섰다는 게 한 증거다. 그리고 그 힘이 '대통령의 방문'에 있다는데 토 달 이는 없을 것이다.

한 예로 단순 규모로 작년 대구 행사는 참여기업 수가 올해의 두 배가 넘는 345개에 달할 정도로 컸지만, 미디어의 주목은 정반대였다. 개막식을 중심으로 중앙 일간지 등 유력 매체들의 보도가 앞 다퉈 나왔다. 이 정도면 ‘사회적경제를 보다 널리 알린다’는 통합박람회의 목표도 달성했다고 할만하다.

5만여 명의 관람객 유치 성과 모두를 ‘대통령 방문’ 효과로 설명할 수는 없다. ‘대전 사회적경제 버스 투어’, ‘KEB하나 대전사랑 푸른음악회’등 시민과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등의 노력이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한몫했다는 평가다. 그럼에도 아쉬움은 남는다. 대통령이 방문한 전시관에 부처만이 아닌 대표 사회적기업과 제품, 서비스가 함께 배치됐지만, 정작 대전을 비롯해 전국에서 온 사회적기업들이 모여있는 관은 멀찌감치 떨어져 만들어졌다. 

"격상된 느낌도 있지요. 대통령도 매년 오시면 좋겠구요. 하지만 이 행사가 진짜 우리들(사회적경제 생태계 종사자)의 축제인지는 갸웃하기도 합니다." 대통령 경호나 의전으로 현장에서 다소 불편했던 이유는 문제가 아니다. 행사를 준비하는 전 과정에서 뭔가 할 말이 많았다는 듯 웃고 넘기는 한 관계자의 발언이 여운으로 남는다.

정부 지원과 관 중심은 다를 것이다. 대통령이 사회적경제 박람회에 매년 방문한다는 보장도 없다. '대한민국'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명실상부한 국가 행사로 거듭난 사회적경제 박람회가 대통령 방문과 무관하게 계속 흥행을 이어가려면 어떤 조건을 갖춰야할까. 혹시라도 대통령이 못 오는 때는 미디어 몇 줄 나기도 힘든 그런 박람회를 치러야할까. 지역사회와 민간의 주도와 참여가 어떻게 확대돼야하는지 예산을 지원하는 정부조차도 더 고민할 때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