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2018년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최근 전라북도는 군산을 중심으로 제조업의 위기가 닥치면서 도 전체 경제에 타격을 입었다. 게다가 전북은 2017년 기준 도내 총 생산액(GRDP)의 7.6%에 해당하는 3조 7000억원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등 심각한 역외 유출을 겪고 있다.

전북은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 일자리를 창출할 방법으로 ‘사회적경제’를 택해 올해부터 본격 시동을 걸었다. 전북도는 지난 2월 “2019년을 사회적경제 기반 조성의 원년으로 삼고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목표를 밝히고, 도청 내 사회적경제 전담 부서를 ‘팀 단위’에서 ‘과 단위’로 높여 사회적경제과를 신설하는 등 지원 체계 마련에 나섰다.

혁신타운 조성, 5개년 기본계획 수립→ 일자리 창출?양극화 완화

전북 군산시 옥구읍에 들어설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감도. 3개년 계획을 바탕으로 관련 기업을 입주시키고, 장비 구축 등을 완료한다는 목표다./사진제공=산업부

전북도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및 사회적경제 기업 성장 지원‘을 추진 방향으로, 올해 총 34개 사업에 예산 26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10월 제정된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본 조례‘에 따라 해당 분야 생태계를 조성하고, 관련 기업 성장에 방점을 찍는 것이다.

주요 추진 사업으로는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 ▲사회적경제 5개년 기본계획 수립 ▲사회적경제 위원회 및 협의체 구성 ▲사회적경제 기업 활성화 지원 등이다.

먼저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가 ‘2019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지역으로 전북 군산과 경남 창원 2곳을 선정했다. 혁신타운에서는 지역 내 사회적기업 성장을 위해 기술혁신, 창업지원, 시제품제작, 네트워킹 공간 구축 등에 대한 건축?장비비 등을 지원한다. 국비 140억원, 지방비 140억원 등 총 280억원 예산을 바탕으로 오는 2021년까지 3년간 인프라를 구축한다.

육이수 전북사회적경제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은 “혁신타운은 전북의 민간 사회적경제 조직에서 정부에 계속 요청해온 것으로, 민관이 힘을 더해 고용위기 지역인 군산에 유치하게 됐다”며 “민관이 모여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모색할 공간이 생기면 연구개발도 같이 하고, 장비나 물건도 공유하며 다양하게 협력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라북도는 도청 내 '사회적경제과'를 신설하고,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2019년을 사회적경제 기반 조성의 원년으로 삼는다고 밝혔다./사진제공=전북도

또한 사회적경제 중장기 비전 및 목표 설정을 위해 오는 2020~2024년에 해당되는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연차별로 체계적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한다. 전북연구원이 올해 4~11월 연구 용역을 맡아 지역 일자리 창출, 양극화 완화, 전북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도출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경제 전문 인재양성을 위한 인력양성 및 창업보육 △사회적경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품고도화 및 판매촉진 △제품 판로 확대를 위한 공공기관 우선구매와 민간소비 촉진 △사회적금융 시장 조성 지원을 위한 기금 운용방안 △사회적경제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혁신타운 활성화 방안 등이 담긴다.

나석훈 전북 일자리경제국 국장은 “일자리 창출과 사회 양극화를 보완하는 중요한 방안으로 사회적경제가 부각되는 시기”라며 “연구용역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경제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전북 지역 특성이 반영되고 도민이 공감하며 실행 가능한 정책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1400여개 사회적경제 조직 운영…“전주?완주 이어 군산 구심점으로”

완주로컬푸드협동조합은 '2018 사회적경제 통합 박람회'에서 '협동조합 유공자 포상' 부문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사진제공=완주군

전북에는 2019년 상반기 기준 예비 사회적기업 90개, 인증 사회적기업 128개 등 총 218개 사회적기업이 있다. 협동조합 985개, 마을기업 107개, 자활기업 103개 등을 더하면 총 1400여 개의 사회적경제 조직이 도내에 설립돼 운영 중이다.

특히 인구가 많고 중심부에 위치한 ‘전주’에서 사회적경제가 일찍이 발달했다. 전주시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처음으로 지난 2014년 국(局) 단위의 사회적경제 지원단을 신설해 생태계 조성을 시작했으며, 관련 조직 수도 300여개 이상으로 가장 많다. 또한 ‘완주군’은 로컬푸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280여개 사회적경제 조직이 네트워크를 이뤘으며, 전국적으로도 우수한 지역의 사회적경제 사례로도 주목받고 있다.

육 집행위원장은 “상대적으로 기업 유치가 활발해 제조업 중심으로 지역 경제가 발달한 경상도와 달리, 전라도에서는 자생적으로 경제 성장을 이끌어야 하는 상황이었고 그 방법으로 일찍이 사회적경제 방식을 택했다”면서 “전주, 완주 등에 비해 사회적경제 발달이 덜 된 군산에 혁신타운이 들어서는 만큼, 이를 구심점으로 전북 전체가 발전하길 기대한다”며 말을 이었다.

“사실 사회적경제가 고용, 일자리, 지역경제, 공동체 등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만능열쇠는 아닙니다. 바닷물이 썩지 않기 위해서는 3%의 염도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자본주의로 비롯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소금 역할을 하는 것이죠. 현 정부의 철학과 정책이 잘 유지되고 실행돼 사회적경제가 국가, 지역 전체 생산에 3%만 담당해도 우리 사회는 분명 달라질 겁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