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가치지표(SVI)가 개발됐다. /사진=고용노동부

지난달 ‘2019 사회적기업가 페스티벌’에서 진행된 ‘사회적 가치지표(SVI) 설명회’의 참가자 좌석은 꽉 찼다. 이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하 진흥원) 강경흠 인증평가팀장이 올해 초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내놓은 ‘2019년 사회적 가치지표(SVI) 활용 매뉴얼’을 소개한 후 현장에서는 질문이 쏟아져나왔다. 배점 2점짜리 ‘사회적 가치 추구 여부’ 지표의 변별력부터 비계량지표 측정 시 주관성 개입 여부까지. 마치 시험 전날 선생님에게 질문을 던지는 학생들을 보는 듯했다.

적합성, 신뢰성 등을 따지기 위해 가치 지표를 꼼꼼하게 확인하고 공부하는 모습이 바람직해 보였지만 마음 한 구석이 씁쓸했다. SVI는 재작년에도, 작년에도 나왔지만 이렇게 주목받는 게 올해부터인 이유는 사회적기업 등록제 시행 이후 바뀔 정부 지원 정책 때문이다. 등록제 전환으로 문턱이 낮아지면 너도나도 사회적기업이 될 수는 있지만 너도나도 지원받을 수는 없다. 지원 대상을 고를 때 정부가 사용할 척도의 기반이 되는 게 바로 SVI다. 지원 제도가 없어도 SVI가 이만큼 ‘핫’했을까?

앞선 3월 20일 ‘사회적 가치의 평가와 측정’이라는 주제로 열린 ‘2019년 한국비영리학회 1차 현장포럼’에서 진흥원 송남철 창업육성본부장은 “SVI가 정부 지원을 위한 도구로 전락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기업 탐방을 다녔던 초기에 “솔직히 인건비 지원을 바라고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았다”고 말하는 사회적기업가를 실제로 만나 당황했던 기억이 있다. 사회적기업은 지정이 끝이 아니다. 처음 의도를 잊지 않고 정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SVI에 몸을 맞추려는 사회적기업보다는 처음 세운 미션과 비전을 향해 사업을 펼치면서 지표로 계량화되는 가치 수준을 달성하게 된 사회적기업이 더 많아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