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비즈니스(CB)는 지역공동체가 주체가 돼 지역사회 문제를 지역자원을 활용해 해결하는 사업이다. CB사업이 제대로 지역에 안착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할까? 김왕의 커뮤니티와경제 단장은 ‘지역커뮤니티 간 공감대’와 ‘지속가능성’ 두 가지를 강조했다.

지난 4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개최하는 월례회의 ‘현장의 소리’ 특강에서 김 단장은 대구에서 시행하고 있는 식품클러스터 사업 과정을 소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커뮤니티와경제는 대구에서 ‘사회적경제 협업화를 통한 식품클러스터 기반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식품클러스터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 사업 과제 중 하나로, 대구에서 선정한 지역 과제기도 하다.

진흥원 월례회의에서 김왕의 커뮤니티와경제 단장이 사례발표를 하고 있다. 

#1. 지역 과제 발굴하고, 네트워크로 실천 기반 마련

대구지역에서는 학교급식 시스템의 한계, 저소득층 먹거리 불균등 문제가 생기면서 ‘식품 분야 CB 규모화 및 성장 인프라 강화’가 중요한 지역 과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7개사 참여로 식품 분야 네트워크가 구축됐다. 지속적인 교류 및 공공 자산화 포럼 등을 진행하며 지역 내 식품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들을 함께 고민했다. 그 결과 식품 분야 활성화를 위해 △컨설팅 △브랜딩 △제품 디자인 등 업무와 △시장 판매 역할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프로젝트를 실천할 수 있는 새로운 기반이 되었다. 대구 사회적경제 웨딩브랜드 ‘파뿌리 웨딩’이 이 과정에서 탄생했다. ‘건강한 결혼식 문화 만들기’라는 취지 속에서 폐백, 만찬 등 결혼식에 필요한 음식을 제공하는 이 프로젝트는 지역의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협업으로 새로운 식품클러스터를 형성한 사례로 손꼽힌다. 지금은 도시락&케이터링 공동구매 등 커뮤니티비즈니스 활동영역을 넓혀가며 기반을 다져 나가고 있다.

김 단장은 “함께하는 주체에 따라 결과나 확산 등 양상이 다를 수 있다”며 “식품클러스터는 사전 기반이 비교적 잘 마련되어 있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커뮤니티비즈니스를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며 공동의 목표와 개선 과제를 명확히 할 수 있었다”고 돌아봤다.

#2. 지속가능성 높이려면 ‘지역공감대 형성’이 핵심

사업이 본격화되면 밖으로 드러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사회적 가치를 확산해야해야 한다. 특히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 내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대구 식품클러스트 사업에서도 이 점은 중요한 숙제였다. 공동작업장 구축과 HACCP 인증에 지역 3개 업체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다. 특정 기업에만 혜택이 돌아가는 게 아니라 지역 공동 자산임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 주체들에게 사업을 이해시키고 자원들을 연계하는 것도 중요하다.

김 단장은 “기존 사업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분야들이 존재한다”며 “우리의 경우 한국가스공사와 협력해 작업장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를 지원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국가스공사 외에도 공동 브랜드 개발 및 상품 디자인 개선에 (재)대구경북디자인센터가 동참했고, 유통 채널을 연계한 판로개척에는 무한상사사회적협동조합과 협력했다. 이렇게 지역의 민·관이 공동으로 식품 분야 CB네트워크 구축에 참여한 결과, 28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졌다.

식품클러스터 기반 조성사업으로 탄생한 식품분야 사회적경제기업 통합 브랜드 베리쿱(VERYCOOP)

#3. 더 많은 조직과 연계 고민하고 주체 의지 높여가야

물론 그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았다. 낮은 사업 이해도는 지역 내에서 사업을 하는데 난관이 된다. '규모도 작은 조직인데 무슨 컨설팅을 하느냐' 등 따가운 시선이 여전히 존재하고, 지역별 사회적경제 역량 차이도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연계할 지원조직 및 사업을 수행해 갈 사회적경제기업이 없어 공동프로젝트 자체가 시도되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 중 하나다. 그렇다면 커뮤니티비즈니스가 지역에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한 과제는 무엇일까. 김 단장은 사회적경제를 넘어 지역의 다양한 기관들과 협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사회적경제 조직들과 주로 연계했지만, 지역에 있는 다양한 기관들을 사회적경제로 유입하는 것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원사업을 통해 “수혜 대상을 늘리는 게 꼭 좋은 성과를 담보하지는 않는다”면서 지원제도는 부가적 요소이고, “결국 실질적인 사업 실행 주체의 의지와 참여가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로운넷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사회적경제, 사회적가치 알리기를 실천합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