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협동조합이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학교 내 협동조합 지원계획」을 발표하면서 학교협동조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중간지원센터가 올해 1월 만들어지고, 17개 시도교육청도 이에 발맞춰 학교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에 나서고 있다. 올해 학교협동조합에 불어오는 변화의 바람을 2회에 걸쳐 소개한다.

정부 정책으로 학교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면서 지역에서도 학교협동조합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번 정부 지원은 도 교육청과 지자체가 체계적인 지원에 나서는데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학교협동조합 한 관계자는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지역은 학교협동조합 활동 자체가 미비했고, 생태계 자체가 거의 없는 상황이었는데 올해부터 지역 시도 교육청이 움직이고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며 “지역 기반이 많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 지원은 학교협동조합이 뿌리를 내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7년 서울시교육청이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학교협동조합지원센터를 만들었다./사진=서울시 학교협동조합지원센터 

그간 17개 지역교육청 중 학교협동조합지역센터가 만들어져 운영된 곳은 서울 한 곳뿐이다. 2014년 학교협동조합추진단을 만들고 활동을 시작한 서울은 지난 2017년 4월 전국 최초로 서울시 학교협동조합지원센터를 개소했다. 서울센터는 초?중?고 각급 학교의 학교협동조합 설립과 운영을 지원하고 청소년들의 사회적경제 교육과 체험을 강화하는 등 학교 현장의 협동조합 활성화를 체계적인 지원에 나섰다. 그 결과 현재 서울지역의 학교협동조합은 25개로 늘었다. 예산 등을 이유로 한시적으로 운영하던 센터도 정부 정책으로 확대되면서 운영이 연장되어 향후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기대하고 있다.    

2015년부터 학교협동조합 사업을 벌여온 경기도교육청도 올해부터 정부 사업으로 확장되면서 기존 활동에 탄력을 받고 있다. 김경래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는 "교육청 사업으로만 국한되었을 때는 교육이 주 목적이다 보니 사업 운영에 한계가 있었다"며 "이제 광역-지자체와 연계를 통해 체계를 갖출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말했다. 현재 경기도에는 30여개의 학교협동조합이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말까지 50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학교협동조합 사업은 경기도교육청 내 전담팀(4명)이 있어 별도 지역센터 운영은 고민하지 않고 있다. 

수도권을 벗어난 지방에서도 정부 발표 후 학교협동조합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충남, 경남, 강원도가 적극적이다.   

충남 서천 장학고 사회적협동조합 창립총회./사진제공=충남교육청

충청남도교육청과 충남도는 학교협동조합 교육협력사업의 일환으로 학교협동조합을 지원할 수 있는 중간지원조직을 선정하고, 4월부터 본격적인 현장지원사업을 펼친다. 당장 다음주부터 담당교사, 관리자, 학부모 등 학교협동조합 주체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연수가 시작된다. 현장지원은 충남사회경제네트워크가 맡는다. 장인선 충남사회경제네트워크 실장은 "8천만원 정도 예산이 확보되어 학교협동조합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올해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충남은 지난 2017년부터 학교협동조합 지원 사업을 시작해 2017년 8개교, 지난해 13개교에서 예비 학교협동조합을 지정해 설립과 운영을 지원해왔다. 올해는 총 15개 학교(초등 2, 중학교 2, 고교 6, 특성화고 4, 특수학교 1곳)에서 학교협동조합이 운영되거나 설립을 준비한다. 유재원 충남교육청 장학사는 “중간지원기관과 협력 하에 각 학교에 맞는 협동조합 모델을 고민하고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상남도교육청은 교육청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지난 2월 스페인, 영국 협동조합학교를 탐방하고 돌아왔다. 학교협동조합 추진단은 지난달 25일에는 탐방 보고를 위해 마련한 자리에서 박종훈 교육감은 스페인과 영국의 협동조합학교는 경남교육청에서 추진하는 책임교육, 혁신교육, 미래교육을 추진하는 데 있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면서 스페인과 영국의 선진 사례를 통해 혁신교육을 넘어 협동조합을 통한 미래교육으로 나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경남교육청은 학교협동조합 자치학교 공모도 진행하며, 일반 학교 대상으로는 사경 가치에 대한 인식 확대를 위해 동아리지원사업을 계획 중이다. 경남은 일단 지역센터 설립은 예산이 없어 어렵다는 입장이다. 조용국 경남교육청 장학사는“경남에는 8개 인가를 받은 학교협동조합들이 활동하고 있다"며 "교육청 내 마을교육공동체팀이 담당하며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학교협동조합 해외 탐방 보고회에서 발언하는 박종훈 경남도 교육감./사진제공=경남교육청

2014년부터 학교협동조합을 시작한 강원도교육청은 꾸준히 학교협동조합-지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교육 사회적경제기업 간 협력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경제 교육 등을 진행해온 지역이다. 최근에는 강원도교육청 주최로 열린 학교협동조합네트워크협의회를 통해 지역 내 학교협동조합 활성화에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다운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인재육성팀장은 "올해부터는 도교육청, 지역사회적경제들이 공동으로 학교협동조합의 설립과 육성 등을 위해 협력하는 구조가 생길거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충북, 전북, 제주도 적극적인 분위기다. 

지난 2월, 학교협동조합 활성화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힌 전라북도교육청은 이달 18일에는 초·중·고등학교 희망 교원, 학부모,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학교협동조합 설명회를 개최했다. 전북지역 학교협동조합은 총 4곳으로 2019년 학교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1억3400여만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세부추진 계획은 ▲학교협동조합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홍보 및 공감대 확산 ▲학교협동조합 이해 및 학습을 기반으로 한 설립 활성화 ▲제도 개선 및 지원 전략 수립을 위한 협력체제 강화 ▲지속가능한 학교협동조합을 위한 지원 등이다. 학교협동조합 설립·준비학교에 1억원을 투입해 초기소요비용과 사회적 경제 이해교육, 체험학습과 지속적 컨설팅을 지원하고, 사회적경제 학습동아리에 1천만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3곳의 학교협동조합이 운영되고 있는 충청북도교육청 적극적인 육성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올해 판동초등학교와 추풍령중학교 등 2곳의 협동조합 설립을 추진한다. 공모 등을 통해 4개 학교를 선정해 협동조합 설립도 도울 예정이다. 또 학교협동조합 지원센터를 설치하기로 하고, 이를 수탁 운영할 민간기관·단체의 공모 절차에 들어갔다. 

제주도도 학교협동조합 모델에 제주의 특성과 특성화고 학과와 연계하는 제주형 협동조합을 고민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오대익 교육의원은 지난 2월 12일 ‘제주도교육청 학교협동조합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을 입법하기도 했다.

활발한 움직임도 있지만 낮은 예산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조용국 경남교육청 장학사는 "2016년부터 학교협동조합 지원을 하고 있지만 정부 주요 정책으로 채택된 것에 비하면 담당자의 인식 수준이나 예산 등이 부족한게 현실"이라며 "특히 지역의 경우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조차 높지 않기에 이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신규 설립 지원과 더불어 기존에 만들어진 학교협동조합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장이수 서울학교협동조합협의회 대표는 "학교협동조합 수가 작다 보니 양적 성장을 고민하게 되지만, 기존 조합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더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