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공유경제’를 경험한 시민의 비율이 2016년 34.6%에서 2018년 69.3%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 10명 중 7명은 차량, 자전거, 숙박 등을 공유해본 경험이 있는 셈이다.

경기연구원은 17일 경기도 공유경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합리적인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기준과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한 ‘경기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원 및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공유경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유하기보다 필요에 의해 여럿이 공유하는 활동으로,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위치기반기술, 사물인터넷 등 기술혁신과 플랫폼기업의 등장으로 인해 공유경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경기도 공유기업 현황.(이미지=경기연구원)

경기도는 지난 2015년부터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경기도민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공유경제에 대한 인지도는 2016년 46.2%에서 2018년 49.9%로 소폭 증가했다. 공유경제를 인지한 사람 중 공유경제를 경험한 사람의 비율은 같은 기간 동안 34.6%에서 69.3%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공유경제 경험자 2000명이 가장 많이 경험한 공유경제 서비스는 △차량 공유(33.5%) △자전거 공유(28.8%) △숙박 공유(18.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기도에서 추진해야 하는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질문에 대해 △자전거 공유(20.1%) △주차장 공유(20.0%) △차량 공유(12.9%)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성영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2년 동안 공유경제 경험자가 2배로 늘어났다는 것은 공유경제에 대한 경기도민의 관심이 체험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개인과 개인, 개인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공유경제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경기도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성 연구위원은 경기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 방안으로 △사업 경험이 축적됐고 공유모델 및 가치가 우수한 단체?기업 선정 △지정 시 탑다운(Top-down) 방식과 보텀업(Bottom-up) 방식 모두 사용 △평가 지표를 수요자?공급자?공유모델 측면으로 구분해 제시 △지정된 단체?기업에 혜택을 부여하고 경기도 및 시?군과 협업기회 지원 등을 꼽았다.

또한 경기도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경기도의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으로써 공유경제 활용 △공유경제 홍보플랫폼의 구축과 운영 △다양한 공유사업의 기획과 홍보 △공유기업 발굴 육성 사업의 지속적 추진 △공유경제 브랜드화 및 주기적인 도민의견 조사 실시 등을 제안했다.

성 연구위원은 “공유경제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훌륭한 방안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공유경제 해법을 찾아 적용할 필요가 있다”며 “국가별?지역별로 사회문제의 유형이나 원인 등이 다르기 때문에 경기도의 문제해결을 위해 경기도 맞춤형 공유모델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