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 상황이 계속되면 피해는 고스란히 미래세대의 몫이된다. 청년들도 기후위기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보기 시작했다. 김민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 대표는 “기후변화로 재난이 일어났을 때 안전한 집에서 살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부터, 생존에 대한 위기의식까지 든다”고 했다. 이는 통계로도 알 수 있다. 국제앰네스티가 전 세계 18세~25세 사이의 청년 1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세계가 직면한 23가지 사안 중 기후변화(41%)를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 상황에서 청년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그레타 툰베리는 기후변화 대책 마련을 위해 스웨덴 국회의사당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였고, UN본부에서 열린 기후행동 정상회의에서 연설했다. <이로운넷>은 한국에서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있는 ‘한국의 그레타 툰베리’를 소개한다.

“기후위기 문제를 청년세대, 미래세대라고 불리는 후손들이 부담해야 하는게 아니라 (문제를) 만들어낸 주체인 기성세대도 책임을 져야 합니다. 지금 어른이나 사회가 우리를 지켜줄 거라는 순진한 생각을 갖고 있다면 세월호처럼 우리는 멸망할 수 있어요. 우리가 기성세대가 싼 똥을 치워야 하니까 미리 똥값이라도 내고 가라고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김지윤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Green Environment Youth Korea) 대표가 지난 5월 생활ESG행동이 진행한 ‘생활ESG행동 제1차 라운드테이블’에서 한 말이다. 김지윤 대표는 기후위기에 대해 청년들이 더욱 격렬하게 화를 내야 한다고 했다. 

아래는 김지윤 대표와의 일문일답.

김지윤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 대표/ 출처=김지윤대표
김지윤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 대표/ 출처=김지윤대표

Q. 기후위기는 모든 세대가 고민해야 하는 문제다. 특히 청년들이 더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가 더 오래 살 예정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백세시대라고 해도 현재 50~60대들은 병원이나 시설에 가지않고 살 수 있는 시간은 10년~20년 정도다. 그들의 분노와 우리가 느끼는 부당함은 다르다고 생각한다.

남은 기간 동안 기후위기는 점점 더 심각해질 것이다. 기후가 변하면 거꾸로 돌릴 수도 없다. 우리는 점점 더 뜨거운 세상에서 살아야 하는데 더 오래 살 우리가 더 격렬하게 화를 내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최근 ‘집’, ‘취업’ 등 사회적인 문제가 많다. 하지만 이런 모든 것을 한순간에 없애는게 기후변화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너무 무섭다.

Q. 기후위기 문제를 체감한 직접적인 사례가 있는가.

지난해 54일 동안 장마가 진행됐다. 그때 코로나도 굉장히 심할 때여서 재택근무를 했었는데 그 자체로 너무 힘들었다. 매일매일 비가 내리니 나갈 수도 없었고, 창문이 있는집에서 살았지만 비오는 하늘을 매일 보니 심리적으로 불안했다. 올해 여름도 마찬가지였다. 올해는 작년처럼 많은 비가 오진 않았지만, 동남아에서 볼수 있는 스콜과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지방에 사는 할머니 일도 충격적이었다. 올해 여름 할머니가 사는 곳에 비가 굉장히 많이 왔는데, 그 때문에 집 앞 하천이 넘쳤다고 했다. 물이 많지 않았던 하천이었는데, 짧은 시간 동안 비가 와서 할머니 집에는 신발을 놓는 턱 까지 물이 차고, 뒷집은 신발 턱을 넘어 장판까지 전부 젖었다고 했다. 할머니와 주민들이 경로당으로 대피했다는 말을 들으니 ‘기후위기는 정말 나의 문제’라는 확신이 들었다.

Q. 현재 활동하는 GEYK은 어떤 단체인가?

2014년부터 활동했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청년단체라고 보면 된다. 간혹 환경단체와 기후변화 단체를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다르다. 기존 환경운동 방식과는 다른 접근이다. 나는 ‘환경운동’이라고 하면 피켓을 들고 나가 단체의 의견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있다. 하지만 우리는 시위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문제에 대해 알고 배우는 것을 기본으로 단체를 운영하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 활동을 하는 것은 지극히 나의 개인적인 욕심 때문이다. 기후위기로 인한 북극곰의 문제 등은 나에게 크게 와닿지 않는다. 하지만 최근 2~3년동안 나타나는 문제를 보며 책에서만 봤던 기후위기로 우리가 피해를 보는 문제가 정말 나의 문제로 느껴졌다.

Q.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활동도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에서는 정책제안을 한다. 7년동안 GEYK 활동을 하면서 내가 개인적으로 아무리 관심을 갖고 노력해도 변화가 더디다는 것을 알았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한계도 느꼈다. 그러면서 정책이 변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2019년부터 정책제안 활동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통과시킨 정책을 소개하면 공유카(쏘카, 나눔카) 중 이용률이 낮은 전기차에 대한 것이다. 충전의 걱정 때문에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심지어 비용도 높다. 우리가 할 수 있는건 금전적인 부담이라도 낮추는 것이다. 전기차를 대여하면 30% 할인해 주는 정책을 통과 시켰다.

Q.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다양한 환경관련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탄소중립선언도 하고 그린뉴딜도 발표했는데 실효성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 그린뉴딜을 통과 시킬 때 우리나라에서는 탄소배출을 줄이겠다고 여러 가지를 발표했지만, 그쯤 공기업에서는 해외 석탄발전소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그린뉴딜 하겠다고 하면서 그만큼 아니 그보다 더 많은 탄소배출을 하겠다고 했다. 정부에서는 이미 결정된 것이라고 하지만, 상황에 따라 그에 맞춰서 결정이 번복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어떻게 해결할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해외에서는 있는 공항을 없애고 단거리 노선 비행기도 폐지하는데 우리나라는 공항을 더 짓겠다고 한다. 그런 모습을 볼 때 마다 ‘그린뉴딜은 하나의 선언인가’하는 생각이 든다.

Q. 청년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

기후위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부당하다고, 당신이 책임져야 한다고 1~2명이 이야기하면 떼쓰는 걸로만 보일 수 있다. 내 생각에 10%의 사람이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낸다고 해서 정치인이나 기업들이 소비자,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다. 그러니 우리와 기후변화 활동을 위한 동지가 됐으면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 바쁘고 힘들지만 관심을 갖고 활동한다. 이것이 생각보다 큰 힘이 된다. 나중에 (기후위기 문제로)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보상의 주체가 명확해 질 것이다. ‘기후위기’라는 주제가 어렵지만 외면한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지금 외면하면 나중에 힘들 수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