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이 올해 상반기 사회적경제기업 1655개사에 총 3179억원의 자금을 공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공급목표인 5162억원의 62%에 해당한다.

금융위원회는 1일 제2차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열어 사회적금융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추진계획을 협의했다.

사회적금융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동조합 등 경제적 이익보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수요자에 대출이나 투자, 보증을 제공하는 금융을 말한다. 정부는 2018년 2월,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주기적으로 협의회를 열어 추진상황 점검 및 제도개선 등을 논의하고 있다.

2021년 공공부문 사회적금융 공급 목표 및 7월 말 기준 집행실적./출처=금융위원회
2021년 공공부문 사회적금융 공급 목표 및 7월 말 기준 집행실적./출처=금융위원회

올해 상반기 공공부문 사회적금융 공급 실적을 유형별로 보면 대출 957억원(716개 기업), 보증 1767억원(886개 기업), 투자 455억원(53개 기업) 등이었다.

사회적경제기업 등에 대한 은행권의 대출도 작년 말보다 1350억원 늘어난 1조 2563억원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은행권은 제품 구매(20억 9000만원), 기부·후원(8억 2000만원)을 통해 사회적경제기업 등을 지원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유형별 대출 비중은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출이 9956억원(79.3%)으로 대부분이며, 협동조합 2240억원(17.8%), 마을기업 291억원(2.3%), 자활기업 74억원(0.6%) 순이다.

은행별로는 기업은행(3424억원, 27.3%), 신한은행(2548억원, 20.3%), 농협은행(1512억원, 12.0%)의 대출잔액이 전체의 과반 이상(7484억원, 59.6%)을 차지했다. 지방은행은 대구은행(317억원, 2.5%), 경남은행(253억원, 2.0%), 부산은행(220억원, 1.8%) 순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표준 사회적경제기업 평가시스템 이용 현황이 공개됐다. 신용보증기금은 지난해 4월부터 ‘표준 사회적경제기업 평가시스템’을 무료 제공 중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시스템에 가입한 사회적금융기관은 현재 30개, 이들의 활용건수는 누적 100건이다. 금융위는 “연말까지 50개 기관의 가입을 예상한다”며 “창업초기 및 소규모 기업에 적합한 간이평가모형 개발 등도 지속하겠다”고 전했다.

사회적경제기업 데이터베이스 이용 현황도 공개됐다. 금융위는 “사회적경제기업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기관에 분산돼있는 기업정보를 신용정보원에 집중하고 있다”며 6월 말 기준 2만 6496개 사회적경제기업 정보를 집중했다고 전했다. 사회적경제기업 우대상품안내 여신심사, 비여신지원 등을 위한 기업 발굴 자료 등으로 활용 중이다. 금융위는 “인증정보의 오등록 및 휴폐업 여부를 점검하는 등 관련 내용의 정확성과 최신성을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비수도권 투자 활성화 방안 추진을 강화하겠다고도 밝혔다. 이미 서민금융진흥원을 중심으로 비수도권 소재 대출중개기관을 2곳 발굴했고, 농협과 새마을금고 등 지역금융기관에서 사회적금융상품을 출시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