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신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한 14곳.
서울시가 위해 용산전자상가, 영등포·경인로 일대, 마장축산물시장 일대 등 14곳을 서울 도시재생의 대표 모델인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지정했다.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재생사업을 향후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정책과 발맞춰 펼칠 예정이다.

서울시는 28일 도시재생위원회를 열어 ‘서울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정 가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서울형 도시재생의 방향과 구체적 추진전략을 담은 도시재생 분야 최상위 법정 계획이다.

이번 심의를 통해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이 서울역 일대, 세운상가 일대, 창신·숭인 등 기존 13곳에서 27곳으로 확대됐다. 새로 지정된 용산 전자상가 일대, 영등포·경인로 일대 등은 시가 지난해 2월 선정해 현재 계획수립 및 사업실행 단계에 있는 지역이다.

지금까지는 공공 마중물 사업 중심으로 도시재생을 추진했던 곳이지만, 이번에 도시재생 법정 지역이 되면서 주택도시기금을 통한 수요자 중심형 지원,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융자 지원을 받아 민간 사업자를 끌어들일 수 있게 됐다.

△영등포·경인로 일대는 52만 여㎡에 기계 금속제조업 신성장 산업을 유치하고, 문래 예술창작촌과 연계한 문화산업도 활성화한다. △용산전자상가 일대는 중심시가지형 활성화 지역으로 전자산업 기반 신 산업복합문화 교류공간을 조성한다. △중구 정동은 서울시청과 덕수궁, 돈의문 반경 60㎡에 역사성을 보존하고 회복하는 종합재생 사업을 펼친다.

서울시가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한 27개소.
시는 도시재생 유형을 기존 경제기반형(2~3개 동), 근린재생형(1~2개 동)에 더해 ‘거점확산형’을 신설했다. 거점재생을 통해 주변으로 활력을 확산할 수 있는 소규모 구역이 대상이다. 돈의문 역사문화공원처럼 휴식공간이나 구도심 내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방식이다. 대규모 지역 단위로 지정돼 장시간이 소요됐던 기존 방식을 보완해 도시재생 효과를 높인다는 목표다.

서울의 5대 권역별(도심권·동남권·동북권·서남권·서북권) 통합 도시재생 구상도 새롭게 제시했다. 권역별 쇠퇴 정도를 고려하고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 서울시 생활밀착형 도시계획인 ‘2030 서울생활권계획’ 등을 반영했다.

도심 권역은 역사, 문화, 경제, 생활자산을 활용해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글로벌 문화중심지로 위상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동남권은 국제업무, 관광, 쇼핑과 문화가 융복합된 글로벌 도시를 만들고 주거지를 계획적으로 관리한다. △동북권은 역사, 자연자원과 지역산업을 특화해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 문화·공동체를 활성화한다.

△서북권은 DMC(디지털미디어시티), 대학과 연계한 창조산업을 특화하고 문화관광 네트워크와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한다. △서남권은 산업혁신으로 미래 신성장 거점을 육성하고, 주민 생활기반 강화로 삶의 질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특히 올해부터 정부가 도시재생 뉴딜 신규 사업지에 서울을 포함하기로 하면서 정부와의 분권·협력을 기본방침에 명시하고 협력 방안도 구체화했다. ‘정부(정책 및 제도개선, 국가예산 지원 등)-서울시(전략 및 활성화계획 확정, 예산 지원 등)-자치구(도시재생사업 기능 강화)’ 사이 역할도 정립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정부가 서울시의 도시재생을 이어 받아 ‘도시재생 뉴딜’ 정책으로 확대하면서 도시재생이 전국적 확산을 앞두고 있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며 “올해는 그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서울의 도시재생 성공사례가 대한민국의 도시재생 표준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 양승희 이로운넷 기자
사진제공. 서울시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