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뉴딜 300 사업지 공사 후 경북 경주 수렴항 전경. 파랑으로부터 주택을 보호하기위해 방파제를 설치하고, 어항 경관 및 보행로 개선을 통해 광장을 정비했다./출처=해양수산부
어촌뉴딜 300 사업지 공사 후 경북 경주 수렴항 전경. 파랑으로부터 주택을 보호하기위해 방파제를 설치하고, 어항 경관 및 보행로 개선을 통해 광장을 정비했다./출처=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어촌·어항재생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하 진흥원)과 함께 ‘어촌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경제 모델’ 개발 사업에 착수한다고 23일 밝혔다.

어촌공동체 기반 사회적경제 모델 개발 사업은 어촌뉴딜300 대상지 특성에 맞는 사회적경제 모델을 개발해 해당 지역에 제공함으로써 어촌 지역사회 문제 해결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어촌 마을 조성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진흥원과 어촌뉴딜 300사업 대상지 2곳(화성 백미항, 서산 중왕항)을 모델로 ‘어촌어항재생사업 사회적경제 조직 육성모델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백미항 어촌계는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을 추진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올해는 작년에 추진한 어촌뉴딜300 사업대상지 중 사회적경제조직 육성 가능성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업 계획의 구체성‧타당성, 조직 및 외부협력체계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지난 7월에 3개 지역을 추가로 선정했다. 

선정된 지역은 경북 경주·포항, 경남 남해, 전남 여수 등이다. 지역 특색에 맞는 사회적경제 조직 설립 및 운영,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개발, 다양한 시범사업 운영 등을 통해 어촌공동체 기반 사회적경제 모델 개발이 추진된다.

먼저, 경북 경주 나정항 및 포항 삼정리항‧신창2리항의 경우, 해녀의 공동체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 특화상품 및 서비스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모델 개발을 통해 고령화 및 저소득으로 인해 전통 나잠어업이 사라질 가능성을 줄이고, 해녀문화를 유지‧보존해 나감과 동시에 공동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경남 남해 상주항에서는 어촌뉴딜300 사업으로 건립되는 거점시설 등 지역자원을 연계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를 통해 사회적경제 모델을 구축한다. 상주해수욕장번영회, 상주중학교 학부모들이 주축이 된 동고동락협동조합 등 지역 내 주민 단체들의 참여로 내실 있는 사회적경제 조직 설립 및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 여수 금오도에 소재한 직포항의 경우, 금오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연간 약 2만4000명)의 요구에 맞는 상품 및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특히 마을에 정착한 40~50대 귀어인들이 지역 특산물을 중심으로 공동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을 중점 지원한다.

해양수산부와 진흥원은 이번 어촌공동체 기반 사회적경제 모델 개발 사업이 어촌의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 연안 환경 변화에 따른 소득 감소, 사회서비스 부족 등으로 어촌 소멸에 대응하는데 정책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태경 해양수산부 어촌어항재생과장은 “본 사업이 어촌뉴딜300사업의 효과를 지속시키고 지역의 자생력을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어촌지역의 일자리 확대와 지역주민의 이익 공유가 가능한 어촌공동체 기반 사회적경제 조직 육성의 토대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