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사./출처=서울시
서울시청사./출처=서울시

서울시가 도시를 ‘보존’하는 방식으로 주로 진행했던 도시재생을 개발과 정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대전환하는 ‘2세대 도시재생’을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그동안 진행된 도시재생사업은 쇠퇴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보존‧관리 중심으로 추진되다 보니 주택공급과 기반시설 등 낙후성 개선이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 공공사업으로만 사업이 추진돼 민간참여도 저조했다.

실제로 서울시가 올해 4월 서울시민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0명 중 7명 이상(73.1%)이 도시재생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73.6%였다.

서울시는 ‘2세대 도시재생’을 통해 2026년까지 주택 2만 4000호를 공급하고, 8400명의 직간접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6년 간('21.~'26.) 시비‧국비 7300억원을 포함해 총 7조900억원(민간투자 6조36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특히 도시재생 유형을 노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주거지 재생’과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중심지 특화재생’ 등 2가지로 재구조화한다. 실행방식은 6가지로 다양화한다. 또한 주로 공공 중심으로 추진되던 한계에서 벗어나 개발할 곳과 관리가 필요한 곳을 구분해 다양한 사업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주거지 재생의 경우 기반시설 여건과 주민갈등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재개발을 도입한다. 주민들이 원하지만 재개발이 불가능한 곳은 소규모 주택정비를 추진한다.

오세훈 시장의 공약이었던 ‘모아주택’도 본격 적용한다. 소규모 필지를 보유하고 있는 토지주들이 지하주차장 확보가 가능한 면적(500㎡) 이상을 모아서 공동주택을 지으면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는 내용이다.

한옥밀집지역 등 처럼 도시계획적 규제로 재개발이 어려운 곳은 기반시설 개선 및 주택성능 개선 지원 등을 통한 종합적인 재생이 도입된다.

거점공간 조성, 공동체 활성화 사업에 치중됐던 중심지 특화 재생에서는 창동상계, 마곡 등 5개 권역별 거점과 연계되는 민간 주도의 거점을 개발한다. 도시재생과 접목해 새로운 혁신사업과 일자리 창출은 물론 기존 산업도 고도화한다. 서울 경제 축을 재생함으로써 균형발전을 이룬다는 목표다.

첫 시작으로 김포공항 내 43만㎡에 이르는 가용부지에 민간개발을 유도해 항공 관련 신산업을 중심으로 한 서남권 미래산업 특화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필요할 경우 현재 사업이 추진 중인 도시재생지역에는 지역여건을 고려해 개발수법이 적용될 수 있도록 활성화계획을 수립 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도시재생 재구조화 방향은 연내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통해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제시할 예정이다.

신규 지역 선정은 기존 사업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한다는 원칙으로 최소화한다. 재생사업을 원하는 지역은 주민의견을 꼼꼼히 따져 새롭게 지정한다는 것이다.

양용택 서울시 도시재생실장 직무대리는 “주택공급 및 노후 주거지 개선 미흡 등 그동안 지적되어온 도시재생의 한계를 극복하고 개발을 희망하는 시민의 요구를 반영해 ‘2세대 도시재생’으로 대전환하고자 한다”며 “시민들이 체감하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며, 노후 주거지 개선과 민생․경제를 살리는 실질적인 도시재생사업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