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shutterstock
/출처=shutterstock

최근 어느 분야에서든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용어가 ‘ESG’다. 음식 맛을 올려주는 MSG처럼, ESG가 빼지 않고 넣어야 할 양념이 됐다는 말이 농담처럼 나올 정도다. 경제‧사회계 전반에 핵심 키워드로 떠오른 ESG는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앞글자를 딴 단어로, 투자 의사결정시 고려하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를 뜻한다.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ESG 관련 투자 규모는 약 40조 5000억 달러(4경 4400조원)에 달하며 2030년에는 130조 달러(14경 50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한국의 ESG 투자 규모는 2019년 기준 33조원 대로, 향후 적극적인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회기후변화포럼에서는 16일 ‘기후위기 대응! ESG 진단과 촉진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해 현재 국내외 ESG 동향을 살피고 향후 제도 개선과제 등을 논의했다. 행사는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렸으며,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포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됐다. 

최호 한국산업은행 ESG‧뉴딜기획부장이 ‘국내외 ESG 동향과 향후 녹색금융 추진계획’을 주제로 발표했다./출처=국회기후변화포럼 유튜브 화면 갈무리
최호 한국산업은행 ESG‧뉴딜기획부장이 ‘국내외 ESG 동향과 향후 녹색금융 추진계획’을 주제로 발표했다./출처=국회기후변화포럼 유튜브 화면 갈무리

먼저 최호 한국산업은행 ESG‧뉴딜기획부장이 ‘국내외 ESG 동향과 향후 녹색금융 추진계획’을 주제로 발표했다. ESG는 미래 세대가 필요한 자원을 현재 세대가 어떻게 감당할지 고민하는 ‘지속가능발전’과 같은 개념으로 발전했다. 특히 핵심 주체인 기업들은 ESG를 주요전략 수립 및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는 핵심적 가치이자 아젠다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세계 각국에서도 ESG 관련 전략을 앞다투어 발표하고 나섰다. 대표적으로 EU는 2018년 지속가능금융 실천 계획을 발표했는데 △지속가능한 투자로 자본흐름을 재조정하고 △위기 관리에 지속가능성을 반영하며 △투명성을 강화하고 장기주의를 촉진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한국에서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지난 1월 녹색금융 계획을 발표했다. 금융위원회는 △정책금융 지원 확충 등 공공부문 역할 강화 △민간자금 유입 유도 등 민감금융 활성화 △환경정보 공시 확대 등 녹색 금융 인프라 정비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다만 탄소중립 목표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재원이 소요돼 장기적인 관점의 노력이 필요하다. EU에 따르면 기후변화 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연 평균 2700억유로(약 359조원)가 소요될 전망이다. 아울러 녹색사업은 고위험‧대규모 사업이 대다수라 무엇보다 정책금융의 필요성이 크다.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국장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ESG의 역할과 제도 개선 과제’를 발표했다./출처=국회기후변화포럼 유튜브 화면 갈무리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국장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ESG의 역할과 제도 개선 과제’를 발표했다./출처=국회기후변화포럼 유튜브 화면 갈무리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국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ESG의 역할과 제도 개선 과제’를 발표했다. ESG는 지난 2006년 UN이 투자시 비재무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책임투자원칙(PRI)’을 발표하면서 본격 사용됐다. 앞서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CSV(공유가치 창출)’ 등 유사한 용어들이 사용됐는데, ESG가 단순히 지나가는 바람인지, 사회의 판을 뒤바꿀 파도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분명한 점은 전 세계의 패러다임이 ESG를 핵심으로 하는 ‘포용적 성장’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저탄소‧탈탄소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이 돈을 벌고 쓰는 게임의 룰 자체가 변화 중인데, 자발적인 윤리적 행동에서 시작된 변화가 이니셔티브(주도적) 단계를 거쳐 강제성을 지닌 법제화‧제도화 방향으로 나아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기업의 ESG 정보 공개 의무화 △ESG를 고려한 금융기관의 투자 △기관투자자가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도록 행동원칙을 규정한 ‘스튜어드십 코드’ 참여 확대 △사회책임 공공조달 강화 등 여러 과제의 이행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한 다양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으나 아직 계류 중이라 보다 적극적 논의가 요구된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김일중 포럼 공동대표를 좌장으로 △이세훈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 △윤석모 삼성증권 ESG연구소장 △김철중 SK이노베이션 Optimization & Analytics 실장 △이동섭 국민연금공단 수탁자책임실장 △황선구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기업지원부장 △김용태 금융감독원 국제국장 △김정인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등이 참여해 ESG와 관련하여 공공‧민간‧학계 등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16일 오전 열린 ‘기후위기 대응! ESG 진단과 촉진방안’ 국회 세미나에 참석한 유의동 의원(왼쪽)과 이동걸 한국산업은행 회장./출처=국회기후변화포럼 유튜브 화면 갈무리
16일 오전 열린 ‘기후위기 대응! ESG 진단과 촉진방안’ 국회 세미나에 참석한 유의동 의원(왼쪽)과 이동걸 한국산업은행 회장./출처=국회기후변화포럼 유튜브 화면 갈무리

이날 세미나를 주최한 국회기후변화포럼 공동대표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은 개회사에서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성과에서 가치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며 “단순히 많이 버는 것보다는 어떻게 버는지가 더 중요한 시대다. 기후위기가 초래할 영향 앞에 머뭇거리기보다 ESG를 고려한 능동적 대응을 통해 기회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동 주최한 한국산업은행의 이동걸 회장은 “환경과 성장은 양립하기 어려운 가치로 여겨왔으나 경제의 규칙은 변화하고 있다”며 “세계 10대 기업으로 부상한 테슬라를 보더라도 산업 분야에서 녹색의 가치는 더 높아졌다. 앞으로 친환경이 기업의 성장을 이끄는 새로운 동력이므로, 한국도 새로운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과감히 뛰어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회기후변화포럼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범국민적인 논의·실천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로 지난 2007년 창립됐다. 현재 국회의원 회원 42명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사 및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이날 행사는 포럼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보기 가능하며, 자료집 역시 누구나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