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ESG, 디지털 기술’

지난 9일 열린 CGSI 사회적가치 아카데미는 최근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를 주제로 내세웠다.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는 이슈인 만큼 400명 넘는 신청자가 사전 접수했으며, 실제 행사에는 150명에 육박하는 시청자들이 참여하며 관심을 입증했다. 2021년 첫 행사는 3개 소주제를 연결한 옴니버스 형태로 진행됐다.

‘CGSI(Consultative Group for Social Impact)’는 지난 2018년 설립된 사회적가치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소셜 임팩팅 그룹으로, 기관·기업의 활동에 사회적가치 반영·평가를 지원하며 컨설팅·교육을 담당하는 소셜벤처다. 최인석 CGSI 매니징 파트너는 2019년부터 사회적가치를 주제로 무료 아카데미를 열어 대중과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사회문제에 목소리 내고 변화 요구하는 청년

지난 9일 열린 CGSI 사회적가치 아카데미에서 ‘MZ세대, 더 센 사회적가치를 주문하세요’를 주제로 강연하는 최인석 파트너./사진제공=온라인 아카데미 화면 갈무리
지난 9일 열린 CGSI 사회적가치 아카데미에서 ‘MZ세대, 더 센 사회적가치를 주문하세요’를 주제로 강연하는 최인석 파트너./사진제공=온라인 아카데미 화면 갈무리

첫 순서는 ‘MZ세대, 더 센 사회적가치를 주문하세요’를 주제로 시작됐다. MZ세대란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1990년대 중반)와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를 통칭하는 말로 현재의 20~30대를 말한다. 소비를 주도하는 세대이자 미래를 이끌어가는 핵심 주체로, 특히 기업에서 이들을 변화를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회사 ‘딜로이트’가 해마다 MZ세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코로나19 전후 개인적 문제와 도전을 겪으면서도 더 큰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유지했으며, 오히려 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를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정부가 사회에 헌신하고, 이익과 사람 우선시하고, 지속가능한 환경 우선시하는 세계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최 파트너는 “한국 기업은 특히 자국의 MZ세대가 중시하는 분배·양극화·실업 문제에 인식을 갖고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MZ세대는 다른 사람들이 대신해주길 기다리지 않고, 변화 창조하는 힘과 능력 믿음을 가졌다. 다양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목소리를 내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견을 표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ESG’ 위해 정보 공개와 표준화한 기준 필요

'ESG'란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를 대상으로 나온 말로, 투자자에게 투자를 받아야 하는 기업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게 생각해야 할 가치로 떠올랐다./사진제공=온라인 아카데미 화면 갈무리
'ESG'란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를 대상으로 나온 말로, 투자자에게 투자를 받아야 하는 기업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게 생각해야 할 가치로 떠올랐다./사진제공=온라인 아카데미 화면 갈무리

두 번째 순서는 ‘ESG의 한계, 공공부문이 개선하다’를 주제로 이어졌다.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란, 투자 의사 결정 과정에서 재정적 요인과 함께 환경, 사회, 거버넌스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다. 최근 기업과 투자자에게 사회적 책임이 요구되면서 중요한 키워드로 떠올랐다.

환경 부문은 기업이 사용하는 에너지와 배출물 등 탄소배출과 기후변화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며, 사회 부문은 기업이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지역사회의 사람 및 기관과 맺는 노동 관계나 다양성, 포용성 등을 포괄한다. 거버넌스 부문은 기업이 효과적 결정을 내리고 법률을 준수하고 외부 이해 관계자와 소통하는 과정·시스템의 투명성을 담는다.

ESG의 핵심은 ‘정보 공개’인데, 각 기업들이 관련 지표에 대한 정보를 공개해야 이에 따라 점수를 매겨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ESG는 평가기관마다 기준이 저마다 다르다는 한계에 놓여있다. 아울러 몇 기업이 진정성을 갖고 ESG에 대응하기보다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ESG 워싱’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최 파트너는 “정부와 규제기관은 ESG 경영과 투자 평가할 객관적·보편적 가이드라인 마련해 예측가능한 규제를 시행하고, 기업들은 ESG를 위험요인이 아닌 기회요인으로 보고 이를 전략적으로 경영 활동에 반영하고 내재화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사회인식 제고와 집단행동 촉진하는 디지털 기술

케냐에서 시작된 플랫폼 '우사히디'는 선거에서 벌어진 부정을 지도에 표기해 시민들에게 알리는 사회적 역할을 하며 주목받았다./사진제공=온라인 아카데미 화면 갈무리
케냐에서 시작된 플랫폼 '우사히디'는 선거에서 벌어진 부정을 지도에 표기해 시민들에게 알리는 사회적 역할을 하며 주목받았다./사진제공=온라인 아카데미 화면 갈무리

마지막 순서는 ‘사회적가치를 높이는 디지털 기술’을 주제로 진행됐다. 디지털 사회혁신은 시민사회 혁신가나 기술‧사회적 기업이 의료·민주주의·소비·금융·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솔루션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협업과 집단지성을 통해 사회인식을 제고하고, 집단행동을 촉진하는 등 유의미한 사회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를 만들 때 다양한 사회목적을 반영한 ‘크라우드 맵핑’이 대표적이다. 장애인이 편안하게 이용 가능한 시설을 표기한 ‘배리어프리 지도’나 코로나19 유행 초기 방역용품 대란 당시 마스크 재고를 지도에 표기한 ‘마스크 알리미’ 등이 주요 사례다. 이외에 개발도상국 주민을 위해 태양열 충전 전지를 보급하거나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개발한 기업들도 기술을 통해 사회변화를 이끈 사례라 할 수 있다.

최 파트너는 “기업은 공급자의 관점에서 우리가 이런 기술을 공급하겠다는 태도가 아니라, 해당 기술을 이용할 시민들에게 권한을 주고 적극적 참여를 독려하며, 사회문제 해결할 동력을 제공하는지 살펴야 디지털 사회혁신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