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이면 정부가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을 내놓은 지 만 2년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기업 신년사를 장식하고, 임팩트 펀드 규모는 나날이 커지는 요즘, 국내 사회적 금융 규모는 얼마나 될까? 올해 임팩트 투자는 어디에 집중해 이뤄질까?

12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된 '2021 사회적 금융 비전 토론회‘에서는 사회적 금융 전문가들이 마이크로크레딧, 크라우드펀딩, 액셀러레이터, SIB(사회성과보상사업) 등 영역별 현황과 과제를 공유했다. 토론자들은 이날 온라인 화상 회의 애플리케이션 줌(ZOOM)으로 모여 15분씩 발표했다. 사전 신청을 한 사람에게만 공개된 토론회였지만 160명이 넘는 인원이 참가했다.

이날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회 위원장인 민형배 국회의원이 참관했다. 민 의원은 “사업이 있는 곳에 금융이 뒷받침되는 건 필수”라며 “토론회 내용을 정책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 법적 기반 형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투자 펀드 더 풀릴 것...이젠 ’측정‘의 시대

사회적 금융 기관으로 구성된 사회적 금융 포럼./출처=사회적 금융 포럼
사회적 금융 기관으로 구성된 사회적 금융 포럼./출처=사회적 금융 포럼

먼저 도현명 임팩트스퀘어 대표가 국내 임팩트 투자 펀드 현황을 개괄했다. 작년 말까지 누적된 임팩트 펀드 총 규모는 약 5500억원. 사회적 금융이 본격 활성화된 2019년과 2020년만 볼 때 연 1000억 남짓 결성된다. 그 외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에서 들어오는 건 연 약 6000억원. 도 대표는 “지역 자조 금융 등 미집계 금융까지 더하면 최소 7000억원 이상 자금 유동이 매해 새롭게 일어난다”고 분석했다.

사회적 금융 포럼 22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던 설문 결과도 소개했다. 응답사는 주식회사 12곳, 재단법인·사단법인·협동조합 각 3곳, 유한책임회사 1곳으로 구성된다. 이 중 13곳이 직접 투자를, 2곳이 민간 유한책임출자자(LP)로서 다른 중개 기관을 통한 투자를 진행했다. 22개 조직의 현재 총 운용자산은 약 1조3124억원, 2020년 금융 공급액은 약 1213억원이다. 올해 자금공급 규모가 유지 혹은 증가한다고 예측한 조직은 19곳이었다.

조사 결과 사후관리를 위한 임팩트 측정 여부에 ‘아니오’라고 답한 조직이 5곳이다. 도 대표는 이제 사회적 가치 측정 문화가 정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 대표뿐 아니라 사회적 금융계의 의견이다. 회원사들은 향후 5년간 직면할 위기로 ‘임팩트워싱’과 ‘사회적 가치 측정의 어려움’을 꼽았다. 도 대표는 “국제 조직 GIIN(Global Impact Investing Network)에서도 비슷한 설문 결과가 나온 걸 보면 세계 임팩트 생태계가 고민하는 사안이므로, 전체적으로 자정작용을 거치고 사전·사후 임팩트를 검증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전했다. 이 외에도 민간 LP 발굴, 수도권 중심의 투자 탈피를 언급했다.

임팩트 투자, 2021년 로컬에 꽂힐 듯

김정태 MYSC 대표는 SDGs와 ESG 관점의 투자 확대가 지역 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거라 전망했다./출처=김정태 MYSC 대표 발표자료
김정태 MYSC 대표는 SDGs와 ESG 관점의 투자 확대가 지역 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거라 전망했다./출처=김정태 MYSC 대표 발표자료

올해는 '지역 전성 시대'라는 게 사회적 금융계의 전망이다. 지역의 임팩트 투자 펀드 수요, 결성 추이 및 운용 사례에 대해 발표한 김정태 MYSC 대표는 전국 소셜벤처의 67%, 인증사회적기업 81%가 서울 외 지역에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지역을 혁신의 테스트베드로 보고 찾아오는 스타트업도 많아졌다. 그는 “임팩트 투자 공급이 증가하면서 대상에 지역 기업이 포함되는 것은 필연적 현상”이라며 “특히 SDGs(지속가능발전목표)와 ESG 관점의 투자 증가 역시 지역 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지역 중심 임팩트 투자 펀드 증가는 현실이다. 김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로컬 임팩트가 주목적인 투자조합은 2018년 9월 결성된 8억원 규모 ‘크립톤-제주 액셀러레이팅 개인투자조합 1호’가 처음이다. 2년 조금 넘은 2021년 현재 인천, 경남, 성동구, 강원 등 지역이 중심인 임팩트투자 펀드 규모는 352억원에 다다른다.

빠르게 늘지만, 성공사례는 부족하다. 김 대표는 수익률을 높일 펀딩 방법으로 ‘혼합금융’을 제시했다. 혼합금융(blended financing)이란 말 그대로 다양한 자금을 섞어 재원을 조달하는 거다. 지분투자 말고도 지원금(grant), 특례 대출(loan), 크라우드펀딩 등으로 투자 효과를 높인다.

혼합금융 모델링. 오른쪽 표는 MYSC가 투자한 소셜벤처 위허들링 예시다./출처=김정태 MYSC 대표 발표자료
혼합금융 모델링. 오른쪽 표는 MYSC가 투자한 소셜벤처 위허들링 예시다./출처=김정태 MYSC 대표 발표자료

예를 들어 소셜벤처 ‘위허들링’은 1억원 이상의 창업 지원금을 받고 시작해 신용보증기금 특례보증을 받았다. 이후 MYSC로부터 5000만원을 직접 투자를 유치하고, 타 투자사들로부터 후속 투자를 받으며 기업가치 100억원을 달성했다. ‘창업 지원금 – 융자/보증 – 지분투자 – 매출 증대’로 이어지는 이 재원 조달 과정을 김 대표는 ‘혼합금융 4층 모델’이라 소개한다.

지금도 곳곳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역 진흥원, 엔젤투자자를 중심으로 투자조합 결성을 논의한다. 특히 로컬크리에이터나 도시재생이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인 지역의 사회적경제 그룹에 투자하는 모습도 보인다. 김 대표는 “초기 단계일수록 성장 지수는 높으므로 지역의 임팩트 투자는 앞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