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 전략에 가장 필요한 건 ‘연대’입니다. 광역자치단체와 자치구,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와 개별 자치구 지원센터간 연대·소통이 미흡해 예산·정책 대비 자치구 단위의 사회적경제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 홍진주 마포구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장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이하 서울사경센터)와 서울시 자치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연대회의는 23일 ‘자치구 사회적경제 종합 성과 포럼’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자치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와 서울사경센터간 협업을 유기적으로 하면, 시너지가 발생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서울사경센터는 지난해 발표된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PLAN 2.0(2020-2022)’의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광역자치단체인 서울사경센터와 개별자치구지원센터의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방법, 자치구 내 사회적경제 생태계 정착을 위한 전략 등이 담긴다.

‘자치구 사회적경제 종합 성과 포럼’에 참여한 개별 자치구 사회적경제원센터장들의 모습./출처=온라인방송화면 캡쳐.
‘자치구 사회적경제 종합 성과 포럼’에 참여한 개별 자치구 사회적경제원센터장들의 모습./출처=온라인방송화면 캡쳐.

서울사경센터-자치구 사경센터, 긴밀한 소통 협력 필요

권소일 서울사경센터 책임은 지금까지 서울사경센터와 자치구 지원센터의 관계가 역할 분담에 그쳤다고 평가했다. 그는 관계 설정을 분명히 하고 협업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조주연 서울사경센터장도 센터끼리 역할이 분리된 지금의 구조에서 벗어나 협업 관계가 설정되면 사회적경제가 내는 성과가 더 많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협업 체계 구축을 위한 정보공유시스템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향자 구로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은 “센터장들이 개별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취합하고 있다”며 “정보가 가장 많이 오는 서울사경센터와 간담회 등 온·오프라인 통로를 만들어 모든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진주 마포구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장이 '자치구별 현황과 전략과제'를 주제로 발제한 내용 화면./출처=온라인 방송 화면 캡쳐.
홍진주 마포구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장이 '자치구별 현황과 전략과제'를 주제로 발제한 내용 화면./출처=온라인 방송 화면 캡쳐.

자치구 사회적경제 생태계 정착을 위한 전략 논의

서울시는 사회적경제가 지역사회 및 시민에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지난 2012년부터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조성사업을 펼쳤다. 이를 통해 24개 자치구에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사업단 및 통합지원센터가 설치됐다. 15개 이상의 자치구에서 사회적경제 기본 조례를 제정해 예산을 책정했다.

사회적경제 관련 기금이 조성됐고 사회적경제주체를 위한 지원 공간을 마련하는 자치구도 있었다. 우리동네나눔반장, 공동주택 같이 살림, 골목상권 활성화 프로젝트 등 사회적경제와 시민사회가 협업하는 사업 모델도 개발됐다.

그러나 이 사업에서도 자치구와 중앙부처·서울시 간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왔다. ‘돌봄sos센터’ 사업의 경우 사회적경제주체와 협업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지만 ‘사회적경제와 함께해야 한다’는 시 차원의 구체적인 지침은 없다. 공동주택도 마찬가지다. 정명훈 강북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은 “(조례 등으로 지정하지 않아) 사업들의 ‘휘발성’이 강하다“면서 “이 같은 요소가 사회적경제 확장을 가로막는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공모사업 방식을 벗어나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사업 위탁 기관을 공모하고 사회적경제주체가 거기 응모하는 방식은 사업이 끝나면 조직 내에 전문성이 남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업 참여가 아니라 사회적경제주체가 지역사회 내 문제를 스스로 발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사회적경제 위해서는 협의체 역할 중요

서울 내 22개 지역은 사회적경제를 지역에 뿌리내리기 위해 사회적경제 협의체를 운영 중이다. 은평구는 중간지원조직과 의료사협·생협·시민단체(NPO) 등이 네트워크를 꾸려 ‘은평사회적경제통합돌봄’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박치득 은평사회적경제허브센터장은 “중간지원조직은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정도고 사회적경제주체가 직접 의제를 발굴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돌봄을 실천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수행경험이 있는 기관만 협의체에 참여하는 문제가 있다. 다양한 사회적경제주체의 참여를 유도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박치득 센터장은 “성과를 공유하는 통로가 만들어지면 또 다른 사회적경제 진영도 참여하고 싶을 것”이라고 말한다.

우순영 노원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도 “사업마다 협의체를 꾸리는 방식을 넘어서 생활 권역별·거점별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사회적경제의 지역 내 지속가능성을 향상하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