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서 귀농합니다!'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 국내 도시농업의 흐름과 전망

‘culture(문화)’는 ‘cultivate(경작하다)’에서 유래되었다. 그만큼 농업은 인류의 역사를 꿰어온 존재이자 대대로 전해진 유전자이다. 도시텃밭, 주말농장에 사람들이 몰리는 건 ‘경작본능’ 때문일지도 모른다. 도시농업이 활성화된 배경이기도 하다.
도시농업의 형태는 뒤뜰, 옥상, 발코니 등의 소규모 텃밭과 도시 공터와 공원, 도로변, 도시근교, 커뮤니티 가든 등이다. 세계 식량의 15%가 도시농업을 통해 생산되고 있다(미국농무부, 2011).

‘도시농업’의 개념이 탄생한 계기는 2004년 (사)전국귀농운동본부에서 시작한 귀농실습이었다. 귀농을 원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었는데, 실제 참여자 중 상당수가 도시에서 농사를 짓고 싶은 사람들이었다. 이에 전국귀농운동본부는 2005년 도시농부학교를 열었고, 상자텃밭 보급사업을 펼치며 시민들의 경작본능에 부응했다.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정부, 지자체에서도 관련 정책을 잇달아 도입했다. 2009년 농촌진흥청에 도시농업팀이 신설되었고, 그해 광명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시농업 관련 조례(시민농업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2010년 11월에는 서울에서는 처음으로 강동구가 ‘친환경 도시농업 관련 조례’를 제정했고, 12월에는 송파구가 뒤를 이었다.
2011년은 지자체 도시농업 조례 제정이 붐을 이뤄 10여 곳이 도시농업 활성화 대열에 동참했다. 이런 흐름에 힘입어 2011년 11월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에 이른다. 도시농업이 제도화된 것으로 시민들의 욕구가 상향식으로 반영된 결과이다.

서울시는 2012년 도시농업 원년을 선포하고 도시농업 수도를 표방했다. 기후온난화와 열섬화를 막고 생태계 회복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도시농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 여겼다. 이어 11월에는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도시농업 육성에 본격 나섰다. 텃밭조성, 교육훈련, 자재보급, 정보제공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쳤다.

서울시는 1단계에 이어 2015년 4월 ‘서울도시농업 2.0’ 마스터플랜을 내놓았다. 시민주도형 활동공간 확보, 공동체 회복과 사회공익기능 증대, 미래산업 육성으로 일자리 창출, 도농상생과 자원순환 등 4대 목표를 세웠다. 서울시는 오는 2018년까지 도시농업 부지를 2012년 84ha에서 5배 늘려 420ha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서울시내 가정 음식물쓰레기의 5%를 퇴비화해 도시농업에 활용할 방침이다.

서울 자치구 중 가장 먼저 도시농업에 팔을 걷어붙인 곳이 강동구이다. 2010년 둔촌동 텃밭을 조성하며 도시농업에 뛰어든 강동구는 2011년 조례 제정, 2013년 전국 최초 도시농업공원 개장 등의 성과를 올렸다. 강동구는 2010년 226 구좌로 시작한 텃밭을 오는 2020년까지 19만 구좌로 확대해 1가구 1텃밭을 구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14년 10월 열린 서울혁신파크에서 열린 은평텃밭가을걷이축제